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중국의 에너지 확보전략과 한국의 대응방안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무역협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3-10
  • 등록일 2006-03-15
  • 권호
□ 무역연구소는 ‘중국의 에너지 확보전략과 한국의 대응방안’을 통해 최근 중국이 에너지 확보전략 강화로 ‘중국발 에너지 위기’에 대한 우려와 경계감이 커지고 있는데 중국의 석유수요 급증이 세계 유가인상과 에너지부족의 주요한 원인중 하나라는 점을 부인할 수 없으나 그 추세는 최근 다소 약화되고 있으며 국제유가의 상승은 러시아, 중남미, OPEC등 주요 에너지 생산국의 석유 통제 및 가격 인상정책, 이라크 정세 불안, 미국의 원유 감산정책, 국제 투기자금의 석유시장 유입 등 중국의 에너지소비 증가 외에도 많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밝혔음

□ 보고서에 따르면 석탄산업 합리화를 통한 석탄 사용 증가와 석유 비중 감소, 석유 외에 천연가스, 수력발전, 원자력, 풍력발전 등을 추진(예: 천연가스 및 원자력 발전, ‘서기동수(西汽東輸: 서부 가스의 동부 운송계획)’, ‘서전동송(西電東送: 서부 전력의 동부 전송계획)’하고, 독자적인 해외 에너지 개발도 강화(국내생산량에 대한 비중 2005년 14.7%, 2010년 28.6% 전망)하며 에너지도입선 다변화를 통해 중국의 에너지 수급 상황 역시 다소 안정화되는 추세라고 전했음

한편 중국의 에너지외교 강화에 따른 국제적 긴장 가능성과 관련, 미국.일본 등의 견제에도 불구하고 지역별 상황과 중국의 외교전략 등 제반여건으로 보아 긴장 고조 가능성은 크지 않으며 중국은 최소한 중단기적으로 기존 국제질서의 변화보다는 기존 질서가 유지되는 가운데 그 안에서 자국의 이익을 최대화하는 전략을 구사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

□ 보고서에서는 우리나라는 독자적인 시각에서 세계 및 동아시아 에너지질서 변화를 분석.전망하고, 중국의 에너지확보 강화전략이 유발할 수 있는 기회를 최대한 이용할 필요가 있는데 중국과의 협력강화를 통한 ‘아시아 프리미엄’완화와 에너지 구매협상력 제고, 해외 에너지자원 개발 강화로서, 해외 에너지개발 지원 강화, 에너지외교 강화, 중국 업체와의 해외 에너지원 공동 탐사.개발 가능성 검토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