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기후변화 특성화대학원” 지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환경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3-15
- 등록일 2006-03-23
- 권호
□ 최근 국제적 기후변화대응 활동 및 협상이 본격화됨에 따라 기후변화에 대한 교육·연구 기반의 확대 및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한 실정이며,
○ 이미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의 경우 기후변화 특성화대학원 지원을 통한 전문
인력 양성에 주력하고 있음
□ 이에 환경부는 올해부터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 지원사업을 시작하기로 하고, 온실가스 배출
통계 분야는 서울대학교, 온실가스 감축정책 분야는 계명대학교, 모니터링·영향평가 및
적응대책 분야는 고려대학교를 특성화대학원으로 최종 선정·발표
○ 기후변화 특성화대학원으로 선정된 이들 3개 대학원은 정부로부터 올해 1억원씩 재정
지원을 받게 되며, 지원기간은 원칙적으로 5년이며, 필요시 5년을 연장할 수 있도록 되어음
○ 또한 지정된 대학원에 대해서는 매년 연구수행결과 및 전문가 양성 진척도 등에 대한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지원의 계속성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여 지원사업의 실효성을 높이도록
함
□ 기후변화 특성화대학원은 기후변화 과정 개설, 관련 논문작성 및 연구,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하여 전문인력 양성을 체계적으로 도모하고,
○ 특히 산·학·연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양성된 인력이 기업, 정부, 연구기관 등 인력 수요처에 적절히 활용될 수 있도록 정부와 특성화대학원이 적극 노력할 계획
□ 이번에 기후변화 특성화대학원 선정에는 총13개 대학원이 응모하여 최종적으로 3개 대학원이
선정되었는데,
○ 특성화대학원은 정부, 학계, 연구기관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통하여 사업목표 및 내용의 적정성, 신청기관의 사업수행 기반과 수행능력, 연구성과의 활용계획 및 인력양성
계획의 적정성 등을 평가하여 선정되었음
□ 한편 환경부는 금번 특성화대학원 지원에 대한 학계의 높은 관심과 분야별 전문인력 양성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내년부터는 지원금액 및 대상분야를 확대·시행할 예정이며,
○ 이를 통하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교육·연구 활동 활성화 및 전문인력 양성을 체계적·지속적 으로 추진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이미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의 경우 기후변화 특성화대학원 지원을 통한 전문
인력 양성에 주력하고 있음
□ 이에 환경부는 올해부터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 지원사업을 시작하기로 하고, 온실가스 배출
통계 분야는 서울대학교, 온실가스 감축정책 분야는 계명대학교, 모니터링·영향평가 및
적응대책 분야는 고려대학교를 특성화대학원으로 최종 선정·발표
○ 기후변화 특성화대학원으로 선정된 이들 3개 대학원은 정부로부터 올해 1억원씩 재정
지원을 받게 되며, 지원기간은 원칙적으로 5년이며, 필요시 5년을 연장할 수 있도록 되어음
○ 또한 지정된 대학원에 대해서는 매년 연구수행결과 및 전문가 양성 진척도 등에 대한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지원의 계속성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여 지원사업의 실효성을 높이도록
함
□ 기후변화 특성화대학원은 기후변화 과정 개설, 관련 논문작성 및 연구,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하여 전문인력 양성을 체계적으로 도모하고,
○ 특히 산·학·연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양성된 인력이 기업, 정부, 연구기관 등 인력 수요처에 적절히 활용될 수 있도록 정부와 특성화대학원이 적극 노력할 계획
□ 이번에 기후변화 특성화대학원 선정에는 총13개 대학원이 응모하여 최종적으로 3개 대학원이
선정되었는데,
○ 특성화대학원은 정부, 학계, 연구기관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통하여 사업목표 및 내용의 적정성, 신청기관의 사업수행 기반과 수행능력, 연구성과의 활용계획 및 인력양성
계획의 적정성 등을 평가하여 선정되었음
□ 한편 환경부는 금번 특성화대학원 지원에 대한 학계의 높은 관심과 분야별 전문인력 양성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내년부터는 지원금액 및 대상분야를 확대·시행할 예정이며,
○ 이를 통하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교육·연구 활동 활성화 및 전문인력 양성을 체계적·지속적 으로 추진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