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특허청, 국가 R&D 지재권 전략 수립 및 규정·제도 상담 지원을 위한 ‘R&D 특허센터’를 설치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특허청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4-12
  • 등록일 2006-04-17
  • 권호
-국가 R&D 전 과정에 걸친 지재권 전략 및 규정·제도 등 상담·지원할 터-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지재권 규정·제도 등에 대해 상담하고, 연구노트 기록, 비밀정보 관리, 기술마케팅 등 국가연구개발사업 全 과정에 걸친 지재권 전략을 지원할 “R&D 특허센터”가 출범

□ 특허청(청장: 전상우)은 한국지식재산연구원(KIIP)에 “R&D 특허센터(센터장: 안광구)”를 설치하고 4월 11일 개소식

□ 동 센터는 국가R&D에 대한 투자가 8.8조원에 육박(‘06년 기준)하고 있지만 기술무역적자액은 계속 증가하는 등 R&D의 효율성이 낮고, 부처·사업별로 지재권 규정·제도가 상이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자에게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는 등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출범

□ R&D 연구자들은 지재권 전문가, 변리사, 미국변호사, 특허분석전문가, 국가R&D 과제관리전문가 등 30여명으로 구성된 운영·자문 위원으로부터 R&D 특허센터 홈페이지(www.ipr-guide.org)를 통해 연구개발 과정 전반에 걸친 지재권 전략 및 관련 정보를 제공받음

뿐만 아니라 동 센터는 홈페이지를 통해 정기적으로 주요 지재권 동향을 담은 "e-IPR Bulletin(가칭)“을 발행하고, 향후 이용자의 개별 상황에 맞춤화된 지재권 전략을 담은 ”e-Patent Consulting Report(가칭)“ 등의 자료를 제공할 예정

□ 한편 R&D 특허센터는 특허 등 지재권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인 연구노트(laboratory notebook) 작성 및 관리를 정착시키기 위한 시범사업(*1)을 진행하고 있으며, 아울러 주요 지재권 이슈에 대한 정기적 세미나를 개최할 계획

□첫 번째 정기세미나는 4월 11일 R&D 특허센터 개소에 맞춰 “지식기반경제에서 연구실 지식관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란 주제로 연구자 및 연구관리자 등을 대상으로 한국지식재산센터 19층 국제회의실에서 열릴 예정

○ 이번 세미나에서는 연구실 지식관리 현황(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연구위원), 연구실 지식관리 사례(기업 연구실편: 박한오 바이오니아 사장, 공공연구기관 연구실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최치호 박사), 연구실의 비밀정보 관리(국가정보원) 등의 주제로 해당분야의 전문가들의 발표가 있을 예정

□ 이 밖에도 R&D 특허센터는 연구개발단계, 수행하는 R&D 과제특성, 기관의 요구사항 등에 대한 개별 상황을 고려한 연구기관 맞춤형 지재권 서비스도 실시할 계획이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통하여 R&D 특허센터는 과학기술계에 지재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고 단순히 연구개발투자규모를 중시하던 기존의 R&D풍토에서 벗어나, R&D 전 과정에서 지재권을 염두에 두는 새로운 R&D 문화를 창출하도록 지원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경쟁력 있는 지재권을 창출하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

*1) 이공계 강좌 초기에 연구노트 배포, 연구노트 작성 및 관리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 후 강좌 종료 시점에서 우수작을 선정·포상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며, 상반기에는 카이스트, 연세대, 성균관대, 한양대, 순천대 등을 대상으로 함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