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중소기업청, 산학협력을 통한 기업 혁신성 제고를 위해 ‘중소기업 산학협력 지원사업’에 530억원을 지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중소기업청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4-14
- 등록일 2006-04-17
- 권호
□ 과제당 최대 1억원의 사업비를 지원하는 산학협력 과제의 경우 기술혁신 수준평가가 의무화되고, 대학이나 연구기관에 대한 지나친 의존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해 앞으로는 중소기업이 대학이나 연구기관과 협의하여 직접 사업계획서를 작성, 제출해야 함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은 산학협력을 통해 기술혁신형 기업(INNO-BIZ)을 발굴·육성하고, 기업의 혁신성을 제고하기 위해 올해「중소기업 산학협력 지원사업」에 530억원을 지원키로 하고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제도개선 사항을 발표
□ 산학협력사업 분야별 지원규모는 ‘산학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이 426억원, ‘산학협력 기업부설연구소 설치지원’이 34억원, ‘산학협력실 설치지원’이 70억원임
□ 이번에 발표한 산학협력 지원정책의 추진방향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 강화와 기술혁신 인프라를 병행 지원함으로써 기술혁신능력이 취약한 중소기업이 기술혁신형 기업으로 도약할수 있도록 집중 지원하는 것이다.
특히, 중소기업의 R&D사업이 투명하게 추진되고 혁신성과가 효율적으로 제고되도록 수요자인 중소기업 입장에서 산학협력 지원사업을 추진해 나갈 방침
□ 각 사업에서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주요내용으로는,
산학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의 경우,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사업의 내실화를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하였음
□ 특히, 1년이내의 단기과제를 중심으로 금년에 426억원을 투입, 총 2,000여개의 산학협력 과제를 발굴, 과제당 최대 1억원까지 사업비를 지원
□ 제도개선사항으로는, 사업신청전 기술혁신 수준평가를 실시토록 하여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스스로 알고 부족한 점을 보완해 나가도록 하였으며, 중소기업이 직접 사업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토록 함으로써 종전 대학이나 연구기관에 전적으로 의존한데 따른 독자적 기술개발 역량 강화가 지연되었던 것을 개선하도록 하였음
○ 또한, 기술개발목표를 계량화하여 목표달성도를 명확히 평가토록 하는 등 사업을 투명하게 하고 성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개편하였음
* 산학연 공동기술개발사업 주요 사례 : 핸드폰 LCD 스크린 인쇄용 고기능성 잉크를 개발하는 (주)모젬(대표 김종완)의 경우, 경기대와의 공동기술개발을 통해 제품 불량률을 감소(20%→7.5%)시켜 매출이 급성장(’03년말 110억원 → ‘05년 8월 390억원)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술혁신형 기업으로 변모(’05년 2월)
□ 산학협력 기업부설연구소 설치지원사업의 경우, 34억원의 예산을 지원하여 약 30개의 기업부설연구소를 대학내에 설립토록 할 계획
○ 이를 통해, 중소기업은 대학의 기 확보된 시험장비를 활용할 수 있어 장비구입 등으로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게 되고,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개발에 전념할 수 있게 됨
○ 이 사업은 중소기업에 총 1억원 한도내에서 부설연구소 설치·운영에 필요한 소요비용을 지원하는 것으로서 특히, 석·박사급 고급기술인력 채용에 필요한 연구원 인건비를 최대 3명까지 지원(1인당 2천만원 한도)하여 이공계 기술인력의 일자리 창출이라는 부수적 효과도 예상
□ 산학협력실 설치지원사업의 경우, 금년에 전국 대학에 180개의 산학협력실을 설치하는데 총 70억원을 지원할 계획
□ 금년부터는 단순히 R&D에만 국한하지 않고, R&D기획부터 사업화준비단계까지(From Idea To Business) 기업의 수요에 맞춰 단계별로 지원함으로써 수요자중심의 현장맞춤형으로 운영할 계획
○ 또한, 산학협력실에서 1~2년간 연구에 공동참여하는 학생들(3·4학년)은 현장실습 학점을 인정받게 하여 참여도를 높이고, 향후 해당기업에 취업토록 함으로써 학생 취업과 기업의 기술인력 부족문제를 동시에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중소기업청은 이번 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중소기업 산학협력 지원사업 운영요령」을 제정(2006.3.23)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여 왔으며, 향후 산학협력 지원사업 우수모델을 적극 발굴, 전파해 나갈 계획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은 산학협력을 통해 기술혁신형 기업(INNO-BIZ)을 발굴·육성하고, 기업의 혁신성을 제고하기 위해 올해「중소기업 산학협력 지원사업」에 530억원을 지원키로 하고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제도개선 사항을 발표
□ 산학협력사업 분야별 지원규모는 ‘산학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이 426억원, ‘산학협력 기업부설연구소 설치지원’이 34억원, ‘산학협력실 설치지원’이 70억원임
□ 이번에 발표한 산학협력 지원정책의 추진방향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 강화와 기술혁신 인프라를 병행 지원함으로써 기술혁신능력이 취약한 중소기업이 기술혁신형 기업으로 도약할수 있도록 집중 지원하는 것이다.
특히, 중소기업의 R&D사업이 투명하게 추진되고 혁신성과가 효율적으로 제고되도록 수요자인 중소기업 입장에서 산학협력 지원사업을 추진해 나갈 방침
□ 각 사업에서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주요내용으로는,
산학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의 경우,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사업의 내실화를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하였음
□ 특히, 1년이내의 단기과제를 중심으로 금년에 426억원을 투입, 총 2,000여개의 산학협력 과제를 발굴, 과제당 최대 1억원까지 사업비를 지원
□ 제도개선사항으로는, 사업신청전 기술혁신 수준평가를 실시토록 하여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스스로 알고 부족한 점을 보완해 나가도록 하였으며, 중소기업이 직접 사업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토록 함으로써 종전 대학이나 연구기관에 전적으로 의존한데 따른 독자적 기술개발 역량 강화가 지연되었던 것을 개선하도록 하였음
○ 또한, 기술개발목표를 계량화하여 목표달성도를 명확히 평가토록 하는 등 사업을 투명하게 하고 성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개편하였음
* 산학연 공동기술개발사업 주요 사례 : 핸드폰 LCD 스크린 인쇄용 고기능성 잉크를 개발하는 (주)모젬(대표 김종완)의 경우, 경기대와의 공동기술개발을 통해 제품 불량률을 감소(20%→7.5%)시켜 매출이 급성장(’03년말 110억원 → ‘05년 8월 390억원)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술혁신형 기업으로 변모(’05년 2월)
□ 산학협력 기업부설연구소 설치지원사업의 경우, 34억원의 예산을 지원하여 약 30개의 기업부설연구소를 대학내에 설립토록 할 계획
○ 이를 통해, 중소기업은 대학의 기 확보된 시험장비를 활용할 수 있어 장비구입 등으로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게 되고,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개발에 전념할 수 있게 됨
○ 이 사업은 중소기업에 총 1억원 한도내에서 부설연구소 설치·운영에 필요한 소요비용을 지원하는 것으로서 특히, 석·박사급 고급기술인력 채용에 필요한 연구원 인건비를 최대 3명까지 지원(1인당 2천만원 한도)하여 이공계 기술인력의 일자리 창출이라는 부수적 효과도 예상
□ 산학협력실 설치지원사업의 경우, 금년에 전국 대학에 180개의 산학협력실을 설치하는데 총 70억원을 지원할 계획
□ 금년부터는 단순히 R&D에만 국한하지 않고, R&D기획부터 사업화준비단계까지(From Idea To Business) 기업의 수요에 맞춰 단계별로 지원함으로써 수요자중심의 현장맞춤형으로 운영할 계획
○ 또한, 산학협력실에서 1~2년간 연구에 공동참여하는 학생들(3·4학년)은 현장실습 학점을 인정받게 하여 참여도를 높이고, 향후 해당기업에 취업토록 함으로써 학생 취업과 기업의 기술인력 부족문제를 동시에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중소기업청은 이번 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중소기업 산학협력 지원사업 운영요령」을 제정(2006.3.23)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여 왔으며, 향후 산학협력 지원사업 우수모델을 적극 발굴, 전파해 나갈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