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현대경제연구원, 「과학 기술 정책의 목표와 실천방안」 보고서를 발간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현대경제연구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4-24
  • 등록일 2006-05-03
  • 권호
과학 기술 정책의 목표와 실천 방안

■ 국가 경쟁력으로서의 과학 기술

- 무한 경쟁 시대에 필요한 국가 경쟁력은 과학 기술 경쟁력에서 비롯되며, 과학 기술 경쟁력 제고는 교육 경쟁력을 기반으로 우수한 인재들을 과학 기술계로 모아야 가능함

- 과학 기술 경쟁력의 궁극적 목표는 영재 교육과 같은 창의적 수월성(秀越性) 교육을 통해 대표 원천 기술을 보유하는 데에 있음

■ 과학 기술 정책의 목표

- 과학 기술의 대중화와 생활화 : 유치원생 대상의 신동 프로그램, 초등학생 대상의 과학 영재학원, 영재 고등학교 등을 통해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한 우수 인재 육성을 지원

- 과학 기술의 특성화와 효율화 : 대통령 장학금, 이공계 특별 장학금을 심도있게 진행, 정부 출연 연구원의 PBS(성과 관리 보상 시스템) 제도 개선 및 정년 이후 근무 보장 등을 모색중임

- 과학 기술의 세계화 : 인재 양성과 과학 기술의 국제화와 연결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아래에 제시할 울트라 프로그램(Ultra Program)을 시행할 예정임

■ 과학 기술 정책의 실천 방안

- 블루 텐션(Blue Tension) : 희망적인 긴장을 갖고 각자의 일에 충실하되, 동시에 스스로 사소한 실수도 용납하지 않는 철저한 긴장을 가지고 업무를 정교하게 기획하고 철저하게 평가하자는 의미

- 울트라 프로그램(Ultra Program) : 국내 연구자 15명, 국외 연구자 15명을 대상으로 약 30여명 정도의 연구자 그룹을 만들어 국가에서 장기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

- 탑 브랜드 프로젝트(Top Brand Project) : 과기부 산하 40개의 출연연구소들이 외부에 내세울 수 있는 ‘대표적 자랑거리 성과물’을 두 개 이상 보유하도록 하는 계획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