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KIET,생산성 향상과 정보통신기술의 역할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산업연구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5-08
- 등록일 2006-05-09
- 권호
□ 1990년대 들어 정보통신기술(ICT)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정보통신산업의 실질 부가가치가 1995년 이후 19.1%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함으로써 우리 경제의 성장을 뒷받침함.
그러나, ICT는 ICT산업 자체뿐만 아니라 ICT 활용산업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경제전체의 성장에 기여한다고 할 수 있음.
- ICT가 일국의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는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데, 하나는 ICT투자로 인한 ICT 자본심화가 노동생산성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효과이고,
- 다른 하나는 이러한 ICT 자본스톡의 증대가 각 경제주체에 외부효과(spillover)로 작용하여 혁신(총요소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이것이 다시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효과임.
□ 물론, 산업구조적 측면에서 ICT산업 자체의 생산성이 경제전체의 생산성 증가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
- 그러나, ICT가 여타 산업의 혁신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ICT산업 자체의 생산성만을 증대시킬 경우에는 경제전체의 생산성 제고와 성장확대에 한계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