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06년 中企 생산정보화에 133억 지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중소기업청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06-05-25
- 등록일 2006-05-25
- 권호
<중기청, 전문기업 93개사, 생산정보화 169개사 선정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은 금년도 정보화혁신전문기업사업 및 2개 정보화사업의 지원대상을 선정하고 총 133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고 밝혔음 이를위해 정보화혁신전문기업사업 93개사, 생산정보화사업 169개사를 선정하였으며, 재직자정보화교육은 55개 교육기관을 선정하였음
□생산정보화사업은 기업의 생산현장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여 생산공정을 감시·제어하는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기업당 사업비의 50% 이내로 최대 5천만원까지 지원
□생산정보화사업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05년도 실시한 구축효과에 대한 모니터링결과 서류작업 및 정보분석 시간의 감소 외에 재고의 감소, 납기향상, 불량감소, 기계부하의 감소 등 생산성 향상과 공정 개선의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음
□또한, 중소제조기업의 현장에 유비쿼터스 기술을 접목시켜 신 기술 적용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유비쿼터스 정보화 구현을 위한 구축방법론을 개발하는 목적으로 u-Manufacturing 시범사업을 계획하고, 1개사를 선정·지원할 예정
□정보화혁신전문기업사업은 전문 IT업체(TIMPs)가 정보화 추진전략 수립부터 시스템구축 및 운영까지 일괄 지원하며, 성공의 경우에 한하여 사업비를 지급하는 사업으로 정보화 투자에 대한 확신이 부족한 중소기업에 맞춤과제를 5천만원까지 선정·지원하는 사업으로 경영혁신형 기업 육성 프로그램의 일환임
□중소기업 맞춤형 지원(자율과제) 및 성공조건부(사업실패시 사업비 회수) 시스템 구축으로 중소기업의 만족도가 높아 매년 2.5~3배수의 경쟁률을 유지하고 있으며, 금년에서 251개 기업이 신청하여 2.7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금년 기업당 사업비용은 1억1천만원 수준으로 이중 정부지원은 평균 4천8백만원 정도로 지원될 예정
□중소기업재직자정보화교육은 중소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정보화 활용 및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지원사업으로 연중 지속적으로 지원함. 교육방법은 전문교육기관을 통한 집합교육과 중소기업현장 밀착형 방문교육이 있으며, 교육비는 무료임
또한, 중소기업 현장밀착지원을 위해 정보화강사를 파견하여 중소기업에서 요구하는 정보기술 및 정보화 관련 맞춤 교육을 제공하는 현장방문교육을 진행한다고 밝혔음
□교육신청을 희망하는 중소기업 재직자는 정보화교육 관리시스템(www.smba-edu.or.kr)에 지역별 교육현황(교육기관 및 강사)을 확인한 후 수강신청을 하면 되며, 문의사항은 해당 지방중소기업청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음
□금년 정보화사업은 온라인 사업관리시스템 구축과 절차 간소화, 사전진단제, 사업비 산정의 객관화 등을 통하여 정보화 추진의 불확실성 완화 및 중소기업의 자발적 참여의지를 제고하여 경영혁신을 통한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
□각 사업의 선정기업 명단은 중소기업정보화지원사업 관리시스템(http://i-sme.kimi.or.kr)을 통해 확인하면 됨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은 금년도 정보화혁신전문기업사업 및 2개 정보화사업의 지원대상을 선정하고 총 133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고 밝혔음 이를위해 정보화혁신전문기업사업 93개사, 생산정보화사업 169개사를 선정하였으며, 재직자정보화교육은 55개 교육기관을 선정하였음
□생산정보화사업은 기업의 생산현장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여 생산공정을 감시·제어하는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기업당 사업비의 50% 이내로 최대 5천만원까지 지원
□생산정보화사업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05년도 실시한 구축효과에 대한 모니터링결과 서류작업 및 정보분석 시간의 감소 외에 재고의 감소, 납기향상, 불량감소, 기계부하의 감소 등 생산성 향상과 공정 개선의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음
□또한, 중소제조기업의 현장에 유비쿼터스 기술을 접목시켜 신 기술 적용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유비쿼터스 정보화 구현을 위한 구축방법론을 개발하는 목적으로 u-Manufacturing 시범사업을 계획하고, 1개사를 선정·지원할 예정
□정보화혁신전문기업사업은 전문 IT업체(TIMPs)가 정보화 추진전략 수립부터 시스템구축 및 운영까지 일괄 지원하며, 성공의 경우에 한하여 사업비를 지급하는 사업으로 정보화 투자에 대한 확신이 부족한 중소기업에 맞춤과제를 5천만원까지 선정·지원하는 사업으로 경영혁신형 기업 육성 프로그램의 일환임
□중소기업 맞춤형 지원(자율과제) 및 성공조건부(사업실패시 사업비 회수) 시스템 구축으로 중소기업의 만족도가 높아 매년 2.5~3배수의 경쟁률을 유지하고 있으며, 금년에서 251개 기업이 신청하여 2.7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금년 기업당 사업비용은 1억1천만원 수준으로 이중 정부지원은 평균 4천8백만원 정도로 지원될 예정
□중소기업재직자정보화교육은 중소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정보화 활용 및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지원사업으로 연중 지속적으로 지원함. 교육방법은 전문교육기관을 통한 집합교육과 중소기업현장 밀착형 방문교육이 있으며, 교육비는 무료임
또한, 중소기업 현장밀착지원을 위해 정보화강사를 파견하여 중소기업에서 요구하는 정보기술 및 정보화 관련 맞춤 교육을 제공하는 현장방문교육을 진행한다고 밝혔음
□교육신청을 희망하는 중소기업 재직자는 정보화교육 관리시스템(www.smba-edu.or.kr)에 지역별 교육현황(교육기관 및 강사)을 확인한 후 수강신청을 하면 되며, 문의사항은 해당 지방중소기업청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음
□금년 정보화사업은 온라인 사업관리시스템 구축과 절차 간소화, 사전진단제, 사업비 산정의 객관화 등을 통하여 정보화 추진의 불확실성 완화 및 중소기업의 자발적 참여의지를 제고하여 경영혁신을 통한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
□각 사업의 선정기업 명단은 중소기업정보화지원사업 관리시스템(http://i-sme.kimi.or.kr)을 통해 확인하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