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육부, 행·재정처리 통합시스템 개발 착수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06-06-12
  • 등록일 2006-06-12
  • 권호
□ 교육부 행·재정처리 통합시스템 개발 착수.. 약 150억원 이상의 예산 절감

□ 교육인적자원부는 9일 “지방교육의 행·재정 통합 디지털시스템 구축 추진단” 현판식과 지방교육 행·재정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착수보고회를 가졌음

□ 현판식 및 착수보고회에는 교육인적자원부 이종서 차관을 비롯 150여명이 참석했으며, 일하는 방식을 혁신하고, 국민에게 알권리를 제공함과 동시에 책임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음

□ 이 시스템은 각 부처가 별도로 구축하거나 또는 구축하고 있는 디지털예산·회계관리시스템, 균형성과관리(BSC), 지식관리시스템(KMS), 업무관리(BRM)를 1개의 시스템에 통합 개발함으로써 일선 현장의 예산절감 및 업무효율화에도 기여하게 될 전망
※ BSC(Balanced Scorecard):균형성과관리/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지식관리시스템/ BRM(Business Reference Model) : 업무관리

□ 단위업무를 기반으로 4개의 시스템을 1개로 통합하게 되면 업무와 시스템이 일체화되고, 각종통계 기록 정리를 자동화 할 수 있으며, 업무처리 내용(성공과 실패 포함)을 기록으로 남김으로써 업무를 인계받은 사람이 업무파악이 훨씬 용이해 질 전망이다. 또한 개인은 단위업무를 기반으로 자율과 책임을 지향하고, 조직은 단위업무를 통해 조직의 목표달성과 활력을 제고 할 수 있게 하며, 어떠한 혁신·개혁업무가 주어져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게 됨

뿐만 아니라 비용 면에서도 4개의 시스템을 1개로 통합하면 약 150억원이상의 예산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음

□ 한편, 착수보고회에서는 4대 혁신시스템을 통합한 단위업무관리시스템 및 학교운영계획서와 연계된 학교사업관리 운영 등을 동영상으로 시연해 참석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았음

□ 이번 시스템은 다른 부처의 어떤 시스템보다도 진일보한 시스템으로 개인의 모든 업무관리는 물론 성과관리까지 한번에 처리할 수 있다고 밝혔음 향후 공직사회의 일하는 방식에서 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됨

□ 특히, 이 시스템을 통해 학교 및 시·도교육청의 각종 교육정책이나 재정운용 현황이 주민에게 가감없이 공개됨으로써 주민참여를 촉진함은 물론, 투명하고 신뢰받는 교육기관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 교육부는 성공적인 시스템 개발을 위해 2006년 12월까지 시스템 구축과 시뮬레이션을 거쳐 2007년에는 학교 및 교육청의 시범운영을 실시하여 2008년도부터 전면실시하기로 하였음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