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정통부, '미래정보전략본부' 설치 및 ‘미래전략위원회’ 발족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정보통신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6-13
- 등록일 2006-06-13
- 권호
□ 정보통신부가 지난 4월 조직 개편시 미래정보전략본부를 설치한 데 이어 13일에는 ‘미래전략위원회’를 발족시켜 우리 사회의 미래변화 전망 및 IT에 기반한 국가적 차원의 미래준비에 발벗고 나섬
□ 이는 우리나라가 고도정보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정보통신정책도 산업·기술중심적 시각을 넘어서 인간·사회 전반을 아우르는 IT정책으로, 국가정책도 단기적 현안대응에서 중장기적 미래설계로 전략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된다는 인식에 따른 것임
□ 미래전략위원회는 미래사회와 IT기반 국가발전전략 등에 대해 사회 각 분야 주요 인사와 폭넓게 의견을 교환하고, IT와 비 IT간 상호접목의 장을 확대하여 한국사회의 제반 이슈를 해결하고, IT 기반 선진 한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는 계획
□ 이 위원회는 노준형 정보통신부장관과 어윤대 고려대총장을 공동위원장으로 하여 산·학·연 각계를 대표하는 16인이 참가하며, 위원회의는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IT기반 미래 국가발전전략의 기본방향 및 주요 IT정책 등에 대해 자문역할을 하게 됨 이와 연계하여 하반기에는 해외 석학 등을 초청하는 심포 지엄도 개최할 계획
□ 정통부는 2003년부터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및 각 분야 전문가 400여명이 참여하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제반영역의 변화를 연구하여 2005년말에 20개 메가트렌드를 도출하였으며, 금년초에는 국가적으로 해결해야 할 10개 어젠다를 선정하고 분야별로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하는 등 IT기반 미래전략 마련을 위한 작업을 추진하고 있음
□ 이는 우리나라가 고도정보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정보통신정책도 산업·기술중심적 시각을 넘어서 인간·사회 전반을 아우르는 IT정책으로, 국가정책도 단기적 현안대응에서 중장기적 미래설계로 전략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된다는 인식에 따른 것임
□ 미래전략위원회는 미래사회와 IT기반 국가발전전략 등에 대해 사회 각 분야 주요 인사와 폭넓게 의견을 교환하고, IT와 비 IT간 상호접목의 장을 확대하여 한국사회의 제반 이슈를 해결하고, IT 기반 선진 한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는 계획
□ 이 위원회는 노준형 정보통신부장관과 어윤대 고려대총장을 공동위원장으로 하여 산·학·연 각계를 대표하는 16인이 참가하며, 위원회의는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IT기반 미래 국가발전전략의 기본방향 및 주요 IT정책 등에 대해 자문역할을 하게 됨 이와 연계하여 하반기에는 해외 석학 등을 초청하는 심포 지엄도 개최할 계획
□ 정통부는 2003년부터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및 각 분야 전문가 400여명이 참여하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제반영역의 변화를 연구하여 2005년말에 20개 메가트렌드를 도출하였으며, 금년초에는 국가적으로 해결해야 할 10개 어젠다를 선정하고 분야별로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하는 등 IT기반 미래전략 마련을 위한 작업을 추진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