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정통부, 'IT기반 미래기술전망위원회' 출범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정보통신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7-03
- 등록일 2006-07-03
- 권호
□ 정보통신부는 15~30년 시계의 미래 생활수요를 분석하고, 이를 충족시켜 줄 핵심기술 및 세부 요소기술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서 7월 3일 ‘IT미래기술전망위원회(위원장 : 김수삼 한양대 부총장)’를 공식 발족시킴
□ 이번 연구는 그간 정통부에서 전략적으로 추진하였던 ‘IT 메가 트렌드' 등 미래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생활 영역별 수요를 전망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 수요와 기술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미래 핵심기술 및 세부 요소기술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임
□ 또한 이 연구에는 각계 각층의 전문가 100여명이 참가하여 델파이 조사 등을 실시함으로써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미래기술 전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이번 연구결과는 미래수요에 기반한 장기 시계의 기술을 도출함으로써 5년 정도의 시계로 작성되는 IT기술 R&D 로드맵에 방향성을 제시하고, 수요에 입각한 기술 육성정책을 펴는데 상당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됨
□ IT미래기술전망위원회는 정기적으로 회의를 개최하여 IT기반 미래 핵심기술 및 세부요소 기술 연구에 관한 자문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위원회는 IT 뿐만 아니라 바이오, 나노 등 다양한 관련기술 분야에서 폭넓은 식견을 가진 18명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었음
□ 김원식 정통부 미래정보전략본부장은 “그동안 우리나라는 시장수요에 맞춘 단기적 관점의 IT기술정책에 집중해 온 감이 있다.”고 하면서, “지금부터 장기적 관점에서 미래생활 수요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기술개발을 미리 준비하여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힐 예정
□ 또한, 위원장인 김수삼 부총장은 “선진국으로 도약하느냐, 중진국으로 남느냐 하는 것은 미래를 얼마만큼 열심히 준비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하면서, “이번 위원회가 미래기술 전망을 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어 향후 IT기반 기술개발 정책에 나침반 역할을 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역설할 예정
□ 이번 연구는 그간 정통부에서 전략적으로 추진하였던 ‘IT 메가 트렌드' 등 미래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생활 영역별 수요를 전망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 수요와 기술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미래 핵심기술 및 세부 요소기술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임
□ 또한 이 연구에는 각계 각층의 전문가 100여명이 참가하여 델파이 조사 등을 실시함으로써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미래기술 전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이번 연구결과는 미래수요에 기반한 장기 시계의 기술을 도출함으로써 5년 정도의 시계로 작성되는 IT기술 R&D 로드맵에 방향성을 제시하고, 수요에 입각한 기술 육성정책을 펴는데 상당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됨
□ IT미래기술전망위원회는 정기적으로 회의를 개최하여 IT기반 미래 핵심기술 및 세부요소 기술 연구에 관한 자문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위원회는 IT 뿐만 아니라 바이오, 나노 등 다양한 관련기술 분야에서 폭넓은 식견을 가진 18명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었음
□ 김원식 정통부 미래정보전략본부장은 “그동안 우리나라는 시장수요에 맞춘 단기적 관점의 IT기술정책에 집중해 온 감이 있다.”고 하면서, “지금부터 장기적 관점에서 미래생활 수요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기술개발을 미리 준비하여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힐 예정
□ 또한, 위원장인 김수삼 부총장은 “선진국으로 도약하느냐, 중진국으로 남느냐 하는 것은 미래를 얼마만큼 열심히 준비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하면서, “이번 위원회가 미래기술 전망을 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어 향후 IT기반 기술개발 정책에 나침반 역할을 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역설할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