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전세계 BIO 정보 검색 'KOBIC 포탈'로 한번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7-04
- 등록일 2006-07-04
- 권호
□생명연 KOBIC, 6월 서비스 개시...연구자 직접 분석·지속적 보완 가능
□ 생물학 연구자는 단 시간에 더 많은 논문을 발표할 수 있고 신약개발에 드는 비용과 시간 단축의 효과가 증대돼 선진국보다도 앞서 '개인유전체시대'를 이끌 수 있는 국가인프라가 구축될 전망
□ 지난 3월 출범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이상기) 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KOBIC, 센터장 박종화)는 국가생물정보 검색·분석 포탈 사이트(www.kobic.re.kr)를 구축해 6월부터 서비스를 개시했다고 3일 밝혔음
□ 이는 국내 유전체정보, 생물다양성 및 생물소재의 대표적 포탈로 국립중앙과학관, 국립보건연구원 등 72개 기관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약 12만 8천 건을 완전통합 검색할 수 있도록 했음
□ 기존 분산된 생물자원정보 및 생명정보를 한곳에서 정확한 검색을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10개 이상의 링크에서 3~4개정도의 링크만으로 원하는 생명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와 2배 이상의 검색시간 절약될 것으로 기대됨
□ 또한 단순한 검색 차원을 넘어 연구자가 필요한 생물정보를 직접 분석할 수 있도록 기능유전체정보 분석 10건, 비교유전체 분석 2건, 단백질 기능구조분석 8건 등의 분석시스템을 자체개발했고 선진국보다도 한발 앞선 '개방형 위키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했음
□ 개방형 위키 인터넷서비스는 인터넷 정보교류의 새로운 프로토콜로 제공자와 사용자가 양방향에서 정보를 첨가, 수정, 개선할 수 있는 개방형 인터넷 방식을 말한다. 사용자가 정보의 양과 질의 향상을 지속적으로 보완해 최신 정보의 대량 보급할 수 있음
□ 이것은 미국과 유럽의 고비용 대단위 데이터개발 방식이 아닌 IT위주의 고부가 정보의 자발적 등록, 자동 최신화에 용이한 새로운 웹 버전 2의 철학을 이용한 것임 이에 따라 고립되거나 방치된 생물자원정보가 공개되고 타 국가들보다 신속한 정보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음
□ KOBIC은 내년까지 국내 5개 부처 10개 대형기관과 31개 특수소재은행 등 주요 생물자원정보기관과 연계를 확대하고 국제적으로 1천개 이상의 대형 생명정보 DB를 유기적으로 연계해 전세계의 모든 생물자원 검색이 한 사이트에서 가능토록 할 계획
□ 또한 100개의 생물정보분석시스템을 가동해 생명공학분야 전문가, 생명공학관련 기업 그리고 일반인들에게도 유용한 사이트로 발돋움한다는 방침
□ 박 센터장은 "제 4의 물결인 바이오혁명시대에 생물자원 및 정보를 잘 다루는 나라가 세계를 지배하는 강대국으로 군림할 것이다"며 "선진국에서는 이미 생물자원을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상태다"라고 강조했음
* 대덕넷 신문 참조
□ 생물학 연구자는 단 시간에 더 많은 논문을 발표할 수 있고 신약개발에 드는 비용과 시간 단축의 효과가 증대돼 선진국보다도 앞서 '개인유전체시대'를 이끌 수 있는 국가인프라가 구축될 전망
□ 지난 3월 출범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이상기) 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KOBIC, 센터장 박종화)는 국가생물정보 검색·분석 포탈 사이트(www.kobic.re.kr)를 구축해 6월부터 서비스를 개시했다고 3일 밝혔음
□ 이는 국내 유전체정보, 생물다양성 및 생물소재의 대표적 포탈로 국립중앙과학관, 국립보건연구원 등 72개 기관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약 12만 8천 건을 완전통합 검색할 수 있도록 했음
□ 기존 분산된 생물자원정보 및 생명정보를 한곳에서 정확한 검색을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10개 이상의 링크에서 3~4개정도의 링크만으로 원하는 생명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와 2배 이상의 검색시간 절약될 것으로 기대됨
□ 또한 단순한 검색 차원을 넘어 연구자가 필요한 생물정보를 직접 분석할 수 있도록 기능유전체정보 분석 10건, 비교유전체 분석 2건, 단백질 기능구조분석 8건 등의 분석시스템을 자체개발했고 선진국보다도 한발 앞선 '개방형 위키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했음
□ 개방형 위키 인터넷서비스는 인터넷 정보교류의 새로운 프로토콜로 제공자와 사용자가 양방향에서 정보를 첨가, 수정, 개선할 수 있는 개방형 인터넷 방식을 말한다. 사용자가 정보의 양과 질의 향상을 지속적으로 보완해 최신 정보의 대량 보급할 수 있음
□ 이것은 미국과 유럽의 고비용 대단위 데이터개발 방식이 아닌 IT위주의 고부가 정보의 자발적 등록, 자동 최신화에 용이한 새로운 웹 버전 2의 철학을 이용한 것임 이에 따라 고립되거나 방치된 생물자원정보가 공개되고 타 국가들보다 신속한 정보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음
□ KOBIC은 내년까지 국내 5개 부처 10개 대형기관과 31개 특수소재은행 등 주요 생물자원정보기관과 연계를 확대하고 국제적으로 1천개 이상의 대형 생명정보 DB를 유기적으로 연계해 전세계의 모든 생물자원 검색이 한 사이트에서 가능토록 할 계획
□ 또한 100개의 생물정보분석시스템을 가동해 생명공학분야 전문가, 생명공학관련 기업 그리고 일반인들에게도 유용한 사이트로 발돋움한다는 방침
□ 박 센터장은 "제 4의 물결인 바이오혁명시대에 생물자원 및 정보를 잘 다루는 나라가 세계를 지배하는 강대국으로 군림할 것이다"며 "선진국에서는 이미 생물자원을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상태다"라고 강조했음
* 대덕넷 신문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