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기술이전·사업화 선도 28개 공공연구기관 최종 선정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06-07-10
- 등록일 2006-07-10
- 권호
-Connect Korea 기술이전·사업화 전국 네트워크 가동,향후 5년간 기술이전 4천8백건, 기술이전수입 1천8백억원 달성 기대-
□ 기술이전·사업화를 선도적으로 추진할 국내 최고의 대학, 연구소 등 28개 공공연구기관이 최종 선정되었음
ㅇ 이에 따라, 선정된 기관내의 기술이전전담조직(TLO)은 향후 5년간 정부의 집중지원과 함께 엄격한 성과평가를 받게 되며, 이를 통해 이들 기관은 지역내 기술혁신과 이전·사업화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됨
* TLO(Technology Licensing Office) : 공공연구기관내의 지적재산 관리, 보유기술의 발굴, 민간이전 및 사업화를 담당하는 조직
ㅇ 교육인적자원부, 산업자원부,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기술이전및사업화정책심의회(위원장 : 산자부 장관) 산하 ‘Connect Korea 운영위원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을 확정했음
* Connect Korea 운영위 : 손욱 공학한림원 부회장(위원장), 교육부·산자부·균형위 등 관계부처 국장, 민간위원 10인 내외로 구성
□ 그간 정부는 대학, 연구소 등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의 민간이전과 사업화를 촉진하기 종합계획으로 'Conncet Korea 추진방안‘을 마련하여 추진중임
ㅇ 또한, 동 추진방안의 핵심사업으로 ‘대학·연구소 선도 TLO 지원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금번에 지원대상을 확정하였음
□ ‘대학·연구소 선도 TLO 지원사업’은 전국의 대학, 연구소중에서 발전가능성이 높은 TLO를 선발하여 전담 전문인력 채용 등 역량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임
ㅇ 이를 통해, 대학, 연구소는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기술을 민간에 이전하여 기술료 수입을 올리고,
ㅇ 기술료 수입을 인센티브 차원에서 연구자, 기술이전 기여자 등에 배분하는 한편, 기술이전·사업화 활동에 재투자하여 자립화를 추진할 계획임
ㅇ 또한, 이러한 모델이 성공적으로 정착할 경우 지역내의 여타 대학, 연구소 등으로 확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공공연구기관은 대학 18개, 연구소 10개로 총 28개 기관이며,
ㅇ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 수도권, 중부권, 서남권, 동남권 등 전국 4대 권역별로 5개 기관 이상(대학 4개, 연구소 1개)이 선정되었음
* 4대 권역 : ①수도권(서울·경기·인천), ②중부권(충청·대전·강원), ③서남권전라·광주·제주), ④동남권(경상·부산·대구·울산)
ㅇ 선정된 대학은 KAIST, 포항공대, 한양대, 광주과학기술원 등이며, 연구소는 KIST, 생산기술연구원, 한국광기술원, 포항산업과학연구소 등으로 아래의 표와 같으며, 금년에 기관당 2~4억원 내외를 지원받게 됨
□ 기술이전·사업화를 선도적으로 추진할 국내 최고의 대학, 연구소 등 28개 공공연구기관이 최종 선정되었음
ㅇ 이에 따라, 선정된 기관내의 기술이전전담조직(TLO)은 향후 5년간 정부의 집중지원과 함께 엄격한 성과평가를 받게 되며, 이를 통해 이들 기관은 지역내 기술혁신과 이전·사업화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됨
* TLO(Technology Licensing Office) : 공공연구기관내의 지적재산 관리, 보유기술의 발굴, 민간이전 및 사업화를 담당하는 조직
ㅇ 교육인적자원부, 산업자원부,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기술이전및사업화정책심의회(위원장 : 산자부 장관) 산하 ‘Connect Korea 운영위원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을 확정했음
* Connect Korea 운영위 : 손욱 공학한림원 부회장(위원장), 교육부·산자부·균형위 등 관계부처 국장, 민간위원 10인 내외로 구성
□ 그간 정부는 대학, 연구소 등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의 민간이전과 사업화를 촉진하기 종합계획으로 'Conncet Korea 추진방안‘을 마련하여 추진중임
ㅇ 또한, 동 추진방안의 핵심사업으로 ‘대학·연구소 선도 TLO 지원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금번에 지원대상을 확정하였음
□ ‘대학·연구소 선도 TLO 지원사업’은 전국의 대학, 연구소중에서 발전가능성이 높은 TLO를 선발하여 전담 전문인력 채용 등 역량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임
ㅇ 이를 통해, 대학, 연구소는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기술을 민간에 이전하여 기술료 수입을 올리고,
ㅇ 기술료 수입을 인센티브 차원에서 연구자, 기술이전 기여자 등에 배분하는 한편, 기술이전·사업화 활동에 재투자하여 자립화를 추진할 계획임
ㅇ 또한, 이러한 모델이 성공적으로 정착할 경우 지역내의 여타 대학, 연구소 등으로 확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공공연구기관은 대학 18개, 연구소 10개로 총 28개 기관이며,
ㅇ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 수도권, 중부권, 서남권, 동남권 등 전국 4대 권역별로 5개 기관 이상(대학 4개, 연구소 1개)이 선정되었음
* 4대 권역 : ①수도권(서울·경기·인천), ②중부권(충청·대전·강원), ③서남권전라·광주·제주), ④동남권(경상·부산·대구·울산)
ㅇ 선정된 대학은 KAIST, 포항공대, 한양대, 광주과학기술원 등이며, 연구소는 KIST, 생산기술연구원, 한국광기술원, 포항산업과학연구소 등으로 아래의 표와 같으며, 금년에 기관당 2~4억원 내외를 지원받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