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IT와 문화의 융합, 제1회 민·관 확대 콘텐츠 정책협의회 개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정보통신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7-10
- 등록일 2006-07-10
- 권호
□ 정보통신부와 문화관광부 공동으로 10일 오후 5시30분 프레스센터에서 ‘제1회 민·관 확대 콘텐츠 정책협의회’를 개최한다고 밝혔음
□ 이 행사는 콘텐츠 관계부처 및 각계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청와대가 주관해온 콘텐츠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태스크포스가 1년 여의 검토과정을 통해 ‘IT와 문화의 융합을 통한 콘텐츠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안함에 따라 이의 세부실천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것임
□ 태스크포스는 ‘IT와 문화의 융합을 통한 세계 5대 콘텐츠 강국 건설’을 비전으로 ▲기술개발 여건의 강화 ▲기술이전 활성화 ▲기술인력 육성 강화 ▲콘텐츠 활성화 지원체제 강화 ▲부처간 정책공조 활성화의 5대 주요 추진과제를 제시하였음
□ 태스크포스가 제안한 방안에는 우리나라가 보유한 세계적 수준의 IT 인프라 및 서비스를 토대로 문화적 우수성을 담은 콘텐츠를 발전시킴으로써 국내 콘텐츠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하는 내용을 담고 있음
□ 문화관광부와 정보통신부는 상기 과제의 효율적 추진을 통해 콘텐츠분야의 블루오션 영역을 조기에 개척하기 위해 양부처간 콘텐츠 정책 관련 공조 채널 활성화에 적극 노력하기로 합의하였음. 그 결과 현행 콘텐츠 정책협의회에 민간 전문가를 보강한 민·관 확대 콘텐츠 정책협의회를 재구성하게 되었음
□ 기존 콘텐츠 정책협의회는 2004년 10월 콘텐츠 산업 발전을 위해 양부처가 체결한 업무협력 합의서에의해 양부처 국장급 협의회가 구성되었으며 이미 3차례에 걸쳐 회의를 개최한 바 있음
□ 재구성된 정책협의회에는 콘텐츠 분야의 전문가로서 양 부처 정책평가 과정에 깊이 관여해 온 단국대유해영 교수가 위원장으로 추대되었고, 산업연구원, 삼성경제연구소 등 민간 전문가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등 양 부처 산하기관 전문가 12명이 보강되었음
□ 한편 이번 협의회에는 청와대와 국무조정실 관계자도 함께 참여할 예정. 이는 ‘2010년 세계 5대 콘텐츠 강국’ 진입이라는 비전 달성을 위해 국가차원에서 적극 지원하겠다는 의지 표명으로 평가되고 있음
□ 이 행사는 콘텐츠 관계부처 및 각계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청와대가 주관해온 콘텐츠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태스크포스가 1년 여의 검토과정을 통해 ‘IT와 문화의 융합을 통한 콘텐츠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안함에 따라 이의 세부실천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것임
□ 태스크포스는 ‘IT와 문화의 융합을 통한 세계 5대 콘텐츠 강국 건설’을 비전으로 ▲기술개발 여건의 강화 ▲기술이전 활성화 ▲기술인력 육성 강화 ▲콘텐츠 활성화 지원체제 강화 ▲부처간 정책공조 활성화의 5대 주요 추진과제를 제시하였음
□ 태스크포스가 제안한 방안에는 우리나라가 보유한 세계적 수준의 IT 인프라 및 서비스를 토대로 문화적 우수성을 담은 콘텐츠를 발전시킴으로써 국내 콘텐츠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하는 내용을 담고 있음
□ 문화관광부와 정보통신부는 상기 과제의 효율적 추진을 통해 콘텐츠분야의 블루오션 영역을 조기에 개척하기 위해 양부처간 콘텐츠 정책 관련 공조 채널 활성화에 적극 노력하기로 합의하였음. 그 결과 현행 콘텐츠 정책협의회에 민간 전문가를 보강한 민·관 확대 콘텐츠 정책협의회를 재구성하게 되었음
□ 기존 콘텐츠 정책협의회는 2004년 10월 콘텐츠 산업 발전을 위해 양부처가 체결한 업무협력 합의서에의해 양부처 국장급 협의회가 구성되었으며 이미 3차례에 걸쳐 회의를 개최한 바 있음
□ 재구성된 정책협의회에는 콘텐츠 분야의 전문가로서 양 부처 정책평가 과정에 깊이 관여해 온 단국대유해영 교수가 위원장으로 추대되었고, 산업연구원, 삼성경제연구소 등 민간 전문가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등 양 부처 산하기관 전문가 12명이 보강되었음
□ 한편 이번 협의회에는 청와대와 국무조정실 관계자도 함께 참여할 예정. 이는 ‘2010년 세계 5대 콘텐츠 강국’ 진입이라는 비전 달성을 위해 국가차원에서 적극 지원하겠다는 의지 표명으로 평가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