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中企 60% '기업부설연구소 설치하겠다'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중소기업청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7-13
- 등록일 2006-07-14
- 권호
□ 최근 혁신형 중소기업으로의 도약을 위해 중소기업 기술역량 확충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부설연구소 미보유 기업의 60%가 앞으로 부설연구소 설치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또 기업부설연구소의 설치관련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자금부담(37.3%), 전문인력 부족(31.7%) 등을 꼽았음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은 지난 6월 312개 중소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기업부설연구소 미설치원인 및 설치희망 수요조사’ 결과를 12일 발표하였음
□ 설문에 응답한 기업중 기술개발을 위한 조직을 보유한 업체는 70.5%이며,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한 업체는 39.1% 로 나타났음
□ 기술개발조직 있음 70.5%(기업부설연구소 39.1%, 기술개발전담조직(부,실,과) 19.6%, 임시기술개발조직(T/F) 10.6%, 기타 1.2%), 기술개발조직 없음 29.5%
□ 기업부설연구소 설치의사에 대해서는 미설치업체의 60%가 향후 설치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여 기업부설연구소 설치에 대한 기업의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벤처 및 이노비즈, IT관련 업종, 소규모업체, 최근 설립업체일수록 설치의사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음
□ 기업부설연구소의 설치관련 가장 큰 애로사항은 자금부담(37.3%) 및 전문인력 부족(31.7%)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연구시설 부족, 행정절차의 번거로움, 기술개발 능력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음
* 연구소 설치시 애로사항 : 자금부담 37.3%, 전문인력부족 31.7%, 연구시설부족 12.2%, 행정절차의 번거로움 8.7%, 기술개발능력부족 8.2% 등
□ 기업부설연구소 설치관련 정부지원책은 자금지원(68.5%)이 가장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종업원 수 100인 이상인 업체는 연구인력 구인지원을 자금지원 못지않게 필요한 것으로 응답하여 애로사항 조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음
* 연구소 설치시 정부지원책 : 자금지원 68.5%, 연구인력 구인지원 13.2%, 외부연구기자재 활용지원 9.6%, 행정절차 간소화 8.2% 등
* 종업원 100인~199인 업체 : 자금지원 47.0%, 연구인력 구인지원 41.2%, 200~299인 업체 : 자금지원 42.8%, 연구인력 구인지원 28.6%
□ 특히 기업부설연구소를 직접 설치하기 힘든 중소기업을 위해 중소기업청이 실시하고 있는 ‘산학협력 기업부설연구소’ 설치사업 에 참여의사가 있다는 응답은 전체의 68.7%로 조사됐음
□ 과거에 산학협력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고 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산학협력 기업부설연구소 사업에 대한 참여의사가 높게 나타나, 이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산학협력연구의 확대 및 인프라 구축을 통한 산학간의 성공경험 확산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음
* 산학협력 기실시업체 참여의사율 72.4%, 미실시업체 참여의사율 61.7%
* 산학협력 기 실시업체 중 기존 산학협력 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은 업체, 높은 업체의 참여의사율이 각각 83.3% 및 81.2%로 나타남
또한 산학협력 기업부설연구소 설치사업에 참여할 의향이 없는 경우, 그 이유로 대학의 기술역량 미흡(29.3%), 지리적 제약(15.0%), 지적재산권 보호문제(11.6%) 등을 꼽았음
□ 산학협력 기업부설연구소 설치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대학의 연구능력 강화 및 연구 기자재 확충과 함께 지역단위의 협력네트워크 구축, 지적재산권 보호장치 마련 등에 대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음
또 기업부설연구소의 설치관련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자금부담(37.3%), 전문인력 부족(31.7%) 등을 꼽았음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은 지난 6월 312개 중소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기업부설연구소 미설치원인 및 설치희망 수요조사’ 결과를 12일 발표하였음
□ 설문에 응답한 기업중 기술개발을 위한 조직을 보유한 업체는 70.5%이며,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한 업체는 39.1% 로 나타났음
□ 기술개발조직 있음 70.5%(기업부설연구소 39.1%, 기술개발전담조직(부,실,과) 19.6%, 임시기술개발조직(T/F) 10.6%, 기타 1.2%), 기술개발조직 없음 29.5%
□ 기업부설연구소 설치의사에 대해서는 미설치업체의 60%가 향후 설치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여 기업부설연구소 설치에 대한 기업의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벤처 및 이노비즈, IT관련 업종, 소규모업체, 최근 설립업체일수록 설치의사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음
□ 기업부설연구소의 설치관련 가장 큰 애로사항은 자금부담(37.3%) 및 전문인력 부족(31.7%)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연구시설 부족, 행정절차의 번거로움, 기술개발 능력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음
* 연구소 설치시 애로사항 : 자금부담 37.3%, 전문인력부족 31.7%, 연구시설부족 12.2%, 행정절차의 번거로움 8.7%, 기술개발능력부족 8.2% 등
□ 기업부설연구소 설치관련 정부지원책은 자금지원(68.5%)이 가장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종업원 수 100인 이상인 업체는 연구인력 구인지원을 자금지원 못지않게 필요한 것으로 응답하여 애로사항 조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음
* 연구소 설치시 정부지원책 : 자금지원 68.5%, 연구인력 구인지원 13.2%, 외부연구기자재 활용지원 9.6%, 행정절차 간소화 8.2% 등
* 종업원 100인~199인 업체 : 자금지원 47.0%, 연구인력 구인지원 41.2%, 200~299인 업체 : 자금지원 42.8%, 연구인력 구인지원 28.6%
□ 특히 기업부설연구소를 직접 설치하기 힘든 중소기업을 위해 중소기업청이 실시하고 있는 ‘산학협력 기업부설연구소’ 설치사업 에 참여의사가 있다는 응답은 전체의 68.7%로 조사됐음
□ 과거에 산학협력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고 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산학협력 기업부설연구소 사업에 대한 참여의사가 높게 나타나, 이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산학협력연구의 확대 및 인프라 구축을 통한 산학간의 성공경험 확산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음
* 산학협력 기실시업체 참여의사율 72.4%, 미실시업체 참여의사율 61.7%
* 산학협력 기 실시업체 중 기존 산학협력 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은 업체, 높은 업체의 참여의사율이 각각 83.3% 및 81.2%로 나타남
또한 산학협력 기업부설연구소 설치사업에 참여할 의향이 없는 경우, 그 이유로 대학의 기술역량 미흡(29.3%), 지리적 제약(15.0%), 지적재산권 보호문제(11.6%) 등을 꼽았음
□ 산학협력 기업부설연구소 설치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대학의 연구능력 강화 및 연구 기자재 확충과 함께 지역단위의 협력네트워크 구축, 지적재산권 보호장치 마련 등에 대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