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경영혁신형 중기 평가인증실시 (06.7.12)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중소기업청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7-20
  • 등록일 2006-07-21
  • 권호
□ 중기청(청장 이현재)은 경영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한 우수한 중소기업을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등과 공동으로 경영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인증하기 위한 평가를 금년 7월부터 실시한다고 발표

□ 중기청은 벤처·이노비즈 등 현행제도로는 서비스업, 문화산업, 전통제조업 등을 포함한 중소기업 전반에서 혁신형 중소기업을 발굴·육성하는데 한계가 있고,

□ 또한, OECD(Oslo Manual)를 비롯한 싱가폴(I-Score), 캐나다(ICI) 등 선진국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기업의 경영혁신활동을 평가·조사하여 정부 정책과 연계하고 있으며,

□ 일본의 경우 중소기업이 직접 경영혁신계획을 수립하고, 정부는 이를 평가후 채택·지원하는 적극적인 방법을 도입하는 등 최근 기업의 경영혁신 활동을 중시하는 추세임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경영혁신형 중소기업 발굴·육성 제도의 도입이 필요함을 설명

□ 이번 경영혁신형 중소기업 육성계획을 통해 벤처ㆍ이노비즈 등 현행제도로 혁신형 중소기업으로 평가받기 어려운 서비스업, 문화산업, 전통제조업 등의 기업군도 혁신활동이 왕성하고, 혁신성과가 우수할 경우 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인증이 가능해졌음

□ 김일호 경영정보화혁신팀장은 경영혁신형 중소기업 인증기업(700점 이상)의 지속적인 혁신활동을 지원하기위해 R&D, 정보화·컨설팅, 판로·수출 등 분야별 중기청 지원시책을 벤처·이노비즈 수준으로 연계지원하고,

□ 물품구매 적격심사(조달청), 특허출원시 우선 심사대상(특허청), 중소기업 경영진 정보화 교육사업(정통부) 등 경영혁신형 중소기업과 연계되는 타부처 지원사업 참여시 우대가능 하도록 협의하여 나갈 예정이며,

□ 또한 정부-은행간 협력을 통해 신용대출 중심의 저리의 자금 공급 방안을 마련하고, 구조개선자금 등 정책자금 융자시 우대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음

□ 경영혁신 잠재기업(600~700점)을 경영혁신형 기업으로 유도하기 위해 현행 중기청 정보화지원사업을 재편하고,

□ 중소기업의 경영혁신 성과를 승계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 템플릿 개발 및 D/B 구축, 경영혁신성과를 분석·활용한 새로운 제품·서비스 개발 등 일반기업이 경영혁신형 기업으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요인별 분석·연구 등을 통해 맞춤형 지원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음.

□ 또한, 경영혁신형 중소기업 평가·인증제도의 주요 목적은 지원 그 자체가 아니라, 혁신활동을 통해 우수한 경영성과를 창출한 선도기업 육성을 통한 경영혁신사례를 발굴하여 동종업계의 벤치마킹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자발적인 혁신의지로 성장을 추구하는 기업을 선별·지원하기 위한 정책대상 선정에 있으며,

* 경영혁신 평가지표 분야별로 성도 GL, 홍진HJC 등 다양한 혁신사례 존재

□ 이러한 평가제도가 자연스럽게 우리 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일조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인식변화와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하다고 강조하였음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