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대덕특구 출범 1주년, 세계적인 혁신클러스터로 도약 위한 토대 마련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국가균형발전위원회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06-07-27
- 등록일 2006-07-31
- 권호
□ 대덕연구개발특구가 2006.7.28(금) 출범 1주년을 맞이하였음
○ 연구개발특구는 연구개발 기능과 비즈니스 기능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혁신클러스터로서, 「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지난 2005.7.28일 대전광역시 대덕구.유성구 일원 2,130만평이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된 바 있음
□ 우리나라 대표적인 연구개발 집적지인 대덕특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 21개, 지식재산권의 10%, 박사급 연구인력의 10%를 보유하고 있으며, 2015년까지 기업체 3,000개, 30조원 매출 등을 실현하는 세계 초일류 혁신클러스터를 목표로 하고 있음
□ 과학기술부(부총리 겸 과학기술부장관:金雨植)는 지난 2005년 법제정, 연구개발특구기획단 및 대덕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 설치 등 법제도 및 추진체계를 완비하고 ‘연구개발특구육성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등 특구육성의 기본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 2006년부터 특구육성사업을 본격 추진하여 연구소기업 설립 등 기술사업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 특구 출범 이후 주요 성과로는
○ 연구소기업 설립, 21개의 사업화과제 발굴, 1,814건의 해외특허 분석 등을 추진하였고 600여건의 기술이전 등 초기 기술사업화 성과가 나타나고 있음
○ 또한, 기술벤처투자자금 확보를 위해 1,000억원 규모의 투자펀드 조성을 추진하고 있으며, ‘기술사업화협의회’를 통한 산.학.연 협력 추진, 경영서비스 지원 등 기업 창업.성장을 지원하고 있음
- 그 결과 입주기업 수가 711개로 증가하였고, 코스닥등록기업 12개, 매출액 100억원 이상 기업도 28개로 증가하는 등 특구의 비즈니스 기능이 강화되고 있음
○ 한편, 프랑스 소피아앙띠폴리스, 중국 중관촌 등 세계 주요 클러스터와의 협력 추진 등 특구의 국제화를 추진하여, 1,300만불의 해외투자유치 추진 등의 성과가 나타나고 있음
□ 향후, 과학기술부는 제1단계 특구개발계획에 따라 45만평의 기업 입주용지를 확보하고, 「기술거래 포털사이트」를 구축하여 기술거래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한편, 국세감면을 통한 첨단기업 육성 등을 적극 추진하여,
○ 2010년까지 기업체 1,500개, 매출액 12조원 등 대덕특구를 세계적인 클러스터로 육성.발전시켜 나갈 계획
○ 연구개발특구는 연구개발 기능과 비즈니스 기능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혁신클러스터로서, 「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지난 2005.7.28일 대전광역시 대덕구.유성구 일원 2,130만평이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된 바 있음
□ 우리나라 대표적인 연구개발 집적지인 대덕특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 21개, 지식재산권의 10%, 박사급 연구인력의 10%를 보유하고 있으며, 2015년까지 기업체 3,000개, 30조원 매출 등을 실현하는 세계 초일류 혁신클러스터를 목표로 하고 있음
□ 과학기술부(부총리 겸 과학기술부장관:金雨植)는 지난 2005년 법제정, 연구개발특구기획단 및 대덕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 설치 등 법제도 및 추진체계를 완비하고 ‘연구개발특구육성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등 특구육성의 기본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 2006년부터 특구육성사업을 본격 추진하여 연구소기업 설립 등 기술사업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 특구 출범 이후 주요 성과로는
○ 연구소기업 설립, 21개의 사업화과제 발굴, 1,814건의 해외특허 분석 등을 추진하였고 600여건의 기술이전 등 초기 기술사업화 성과가 나타나고 있음
○ 또한, 기술벤처투자자금 확보를 위해 1,000억원 규모의 투자펀드 조성을 추진하고 있으며, ‘기술사업화협의회’를 통한 산.학.연 협력 추진, 경영서비스 지원 등 기업 창업.성장을 지원하고 있음
- 그 결과 입주기업 수가 711개로 증가하였고, 코스닥등록기업 12개, 매출액 100억원 이상 기업도 28개로 증가하는 등 특구의 비즈니스 기능이 강화되고 있음
○ 한편, 프랑스 소피아앙띠폴리스, 중국 중관촌 등 세계 주요 클러스터와의 협력 추진 등 특구의 국제화를 추진하여, 1,300만불의 해외투자유치 추진 등의 성과가 나타나고 있음
□ 향후, 과학기술부는 제1단계 특구개발계획에 따라 45만평의 기업 입주용지를 확보하고, 「기술거래 포털사이트」를 구축하여 기술거래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한편, 국세감면을 통한 첨단기업 육성 등을 적극 추진하여,
○ 2010년까지 기업체 1,500개, 매출액 12조원 등 대덕특구를 세계적인 클러스터로 육성.발전시켜 나갈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