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OECD정부혁신아시아센터「정부혁신 패러다임,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번역 발간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행정자치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06-08-02
- 등록일 2006-08-02
- 권호
□ OECD정부혁신아시아센터(소장 이창길)는 OECD국가의 정부현대화 전략과 핵심과제를 소개한「정부혁신 패러다임,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Modernising Government: The Way Forward)를 번역·발간함.
□ 이 책은 지난 20년간 진행된 OECD국가들의 공공관리 패러다임의 변화를 소개한 OECD의 종합 연구보고서로서 OECD 국가들이 도입한 정책수단과 혁신아이디어가 실제 어떻게 운영되었고, 사회전체 시스템과 공공거버넌스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종합 정리함.
- 특히, 정부혁신의 성공과 실패 요인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도전 과제가 무엇인지를 도출함으로써 앞으로의 정부혁신을 지원하고 국제적인 시각에서 OECD국가 정부혁신의 공통적 특징과 국가별 중점전략을 이해할 수 있는 정부혁신 지침서임.
□ 이 책에서 OECD가 제시한 정부개혁의 핵심적 추진과제는 1) 투명하고 접근가능한 개방형 정부, 2) 성과주의 관리방식의 도입, 3) 책임과 통제시스템의 현대화, 4) 정부기능의 재편 및 조직 재구성, 5) 공무원의 조직화와 동기부여, 6) 시장형 메커니즘의 적극적 활용 등 6가지로 요약됨.
□ OECD정부혁신아시아센터는 이 책을 중앙부처와 자치단체에 배포하여 정부혁신 추진에 적극 참고하도록 하는 한편, 출판물로 판매하여 일반 독자들에게도 정부현대화의 국제적 추세와 전략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할 예정임.
□ 이 책은 지난 20년간 진행된 OECD국가들의 공공관리 패러다임의 변화를 소개한 OECD의 종합 연구보고서로서 OECD 국가들이 도입한 정책수단과 혁신아이디어가 실제 어떻게 운영되었고, 사회전체 시스템과 공공거버넌스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종합 정리함.
- 특히, 정부혁신의 성공과 실패 요인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도전 과제가 무엇인지를 도출함으로써 앞으로의 정부혁신을 지원하고 국제적인 시각에서 OECD국가 정부혁신의 공통적 특징과 국가별 중점전략을 이해할 수 있는 정부혁신 지침서임.
□ 이 책에서 OECD가 제시한 정부개혁의 핵심적 추진과제는 1) 투명하고 접근가능한 개방형 정부, 2) 성과주의 관리방식의 도입, 3) 책임과 통제시스템의 현대화, 4) 정부기능의 재편 및 조직 재구성, 5) 공무원의 조직화와 동기부여, 6) 시장형 메커니즘의 적극적 활용 등 6가지로 요약됨.
□ OECD정부혁신아시아센터는 이 책을 중앙부처와 자치단체에 배포하여 정부혁신 추진에 적극 참고하도록 하는 한편, 출판물로 판매하여 일반 독자들에게도 정부현대화의 국제적 추세와 전략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할 예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