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중기청,산학협력 활동에 530억원 지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중소기업청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8-02
- 등록일 2006-08-03
- 권호
□ 과제당 최대 1억원의 사업비를 지원하는 산학협력 과제의 경우 자체적으로 기술혁신 수준평가를 거친 총 2,520개 업체를 지원결정 하였고 이들 업체는 Inno-Biz 이행계획*이 의무화됨
* Inno-Biz 이행계획 : 기술혁신활동을 통해 Inno-Biz로 선정되기 위한 기술혁신성 수준평가점수 향상 추진계획을 말함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은 산학협력사업이 단순히 개발과제를 지원하는 것에서 벗어나 산학협력을 통해 기술혁신형 기업(INNO-BIZ)을 발굴·육성하고, 기업의 혁신성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제도개선을 완료하고, 금년도 「중소기업 산학협력 지원사업」 지원대상자에 530억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하였음
□ 산학협력 지원사업의 분야별 지원규모를 보면, ‘산학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이 2,276개 과제개발에 426억원, ‘산학협력 기업부설연구소 설치지원사업’이 신규 30개 등 총 65개 업체에 34억원, ‘산학협력실 지원’이 신규 136개 등 총 179개 업체에 70억원을 지원함
□ 과거와는 달리 금번부터 혁신역량 수준에 따라 맞춤형 R&D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체계적으로 추진할 예정
① 기술혁신수준 자체평가 결과 잠재역량 미흡기업으로 분류된 기업에 대해서는 산학협력 지원사업을 통해 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중점 육성시켜 나가기로 하였으며, Inno-Biz 이행계획을 정기적으로 점검해 나갈 방침
② 중소기업의 R&D사업이 투명하게 추진되고 혁신성과가 효율적으로 제고되도록 과거에는 컨소시엄 위주로 평가를 실시하였으나, 금년 부터는 과제별 성과평가를 실시하고, 정밀현장조사(Spot Check)를 통해 중소기업 R&D사업의 건전화 및 투명성을 제고해 나갈 계획
③ 사업신청시 중소기업이 직접 사업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토록 하여 종전 대학이나 연구기관에 전적으로 의존한데 따른 독자적 기술개발 역량 강화가 지연되었던 것을 개선하였음
□ 한편, 중소기업 산학협력 지원사업의 또 다른 특징은 수도권이외 지역소재 중소기업 지원비율이 전 부처사업중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는 등 지역균형발전에 효과가 매우 큰 사업으로서, 지자체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지역 중소기업 중심의 산학협력 선순환구조가 조기에 정착되도록 할 계획
* 지역업체 지원비율 :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컨소시엄사업 60.9%, 산학협력 기업부설연구소 설치지원사업 66.7%, 산학협력실 지원사업 64.7%
□ 중소기업청은 이번 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중소기업 산학협력 지원사업 운영요령」을 제정(2006.3.23)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여 왔으며, 금년 하반기에는 산학협력 지원사업 성과분석을 통해 투입대비 지원효과를 철저히 분석하여 정책을 개선·보완해 나가고 우수모델은 적극 발굴, 전파해 나갈 계획
* Inno-Biz 이행계획 : 기술혁신활동을 통해 Inno-Biz로 선정되기 위한 기술혁신성 수준평가점수 향상 추진계획을 말함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은 산학협력사업이 단순히 개발과제를 지원하는 것에서 벗어나 산학협력을 통해 기술혁신형 기업(INNO-BIZ)을 발굴·육성하고, 기업의 혁신성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제도개선을 완료하고, 금년도 「중소기업 산학협력 지원사업」 지원대상자에 530억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하였음
□ 산학협력 지원사업의 분야별 지원규모를 보면, ‘산학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이 2,276개 과제개발에 426억원, ‘산학협력 기업부설연구소 설치지원사업’이 신규 30개 등 총 65개 업체에 34억원, ‘산학협력실 지원’이 신규 136개 등 총 179개 업체에 70억원을 지원함
□ 과거와는 달리 금번부터 혁신역량 수준에 따라 맞춤형 R&D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체계적으로 추진할 예정
① 기술혁신수준 자체평가 결과 잠재역량 미흡기업으로 분류된 기업에 대해서는 산학협력 지원사업을 통해 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중점 육성시켜 나가기로 하였으며, Inno-Biz 이행계획을 정기적으로 점검해 나갈 방침
② 중소기업의 R&D사업이 투명하게 추진되고 혁신성과가 효율적으로 제고되도록 과거에는 컨소시엄 위주로 평가를 실시하였으나, 금년 부터는 과제별 성과평가를 실시하고, 정밀현장조사(Spot Check)를 통해 중소기업 R&D사업의 건전화 및 투명성을 제고해 나갈 계획
③ 사업신청시 중소기업이 직접 사업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토록 하여 종전 대학이나 연구기관에 전적으로 의존한데 따른 독자적 기술개발 역량 강화가 지연되었던 것을 개선하였음
□ 한편, 중소기업 산학협력 지원사업의 또 다른 특징은 수도권이외 지역소재 중소기업 지원비율이 전 부처사업중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는 등 지역균형발전에 효과가 매우 큰 사업으로서, 지자체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지역 중소기업 중심의 산학협력 선순환구조가 조기에 정착되도록 할 계획
* 지역업체 지원비율 :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컨소시엄사업 60.9%, 산학협력 기업부설연구소 설치지원사업 66.7%, 산학협력실 지원사업 64.7%
□ 중소기업청은 이번 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중소기업 산학협력 지원사업 운영요령」을 제정(2006.3.23)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여 왔으며, 금년 하반기에는 산학협력 지원사업 성과분석을 통해 투입대비 지원효과를 철저히 분석하여 정책을 개선·보완해 나가고 우수모델은 적극 발굴, 전파해 나갈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