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R&D, 국가전략기술 위주로 대전환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산업통상자원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06-08-14
- 등록일 2006-08-16
- 권호
<15개 次次世代 성장동력 >
① 주력산업 : 차세대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섬유, 일반기계, 스마트철강소재
② 미래유망 : 나노가공장비, 생물바이오, 신기술융합, 지능형로봇, 미래형자동차
③ 삶의 질 및 파급효과 : 청정기술, 차세대의료기술, 마이크로생산시스템, 지식서비스, 지능형물류
□ 민간의 산업기술혁신 지원을 위해 ‘06년 기준으로 1조5천억원 이상을 투입하고 있는 산업자원부(長官 丁世均)의 산업기술 R&D 지원 시스템이 10년만에 15개 국가 전략기술 개발 중심으로 전면 개편됨
◦ 새로운 혁신 시스템이라는 의미에서「NIS(New Innovation System) 21」로 명명된 “新산업기술 R&D 시스템”의 주요 골자는 다음 4가지로 요약됨
※ ‘06년 산업자원부의 산업기술 R&D 사업 예산은 56개 사업 1조 5,800억원 규모(산자부 전체 예산의 25.5%)로 과학기술부와 함께 R&D 투자 2대 부처
□ 15개 국가 전략기술은 차세대 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 섬유 등 주력산업분야 5개 기술, 지능형 로봇, 미래형 자동차, 신기술 융합 등 미래유망분야 5개 기술, 차세대 의료기기, 청정기술 등 삶의 질 관련 5개 기술로 구성됨
① 주력산업 : 차세대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섬유, 일반기계, 스마트철강소재
② 미래유망 : 나노가공장비, 생물바이오, 신기술융합, 지능형로봇, 미래형자동차
③ 삶의 질 및 파급효과 : 청정기술, 차세대의료기술, 마이크로생산시스템, 지식서비스, 지능형물류
□ 민간의 산업기술혁신 지원을 위해 ‘06년 기준으로 1조5천억원 이상을 투입하고 있는 산업자원부(長官 丁世均)의 산업기술 R&D 지원 시스템이 10년만에 15개 국가 전략기술 개발 중심으로 전면 개편됨
◦ 새로운 혁신 시스템이라는 의미에서「NIS(New Innovation System) 21」로 명명된 “新산업기술 R&D 시스템”의 주요 골자는 다음 4가지로 요약됨
※ ‘06년 산업자원부의 산업기술 R&D 사업 예산은 56개 사업 1조 5,800억원 규모(산자부 전체 예산의 25.5%)로 과학기술부와 함께 R&D 투자 2대 부처
□ 15개 국가 전략기술은 차세대 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 섬유 등 주력산업분야 5개 기술, 지능형 로봇, 미래형 자동차, 신기술 융합 등 미래유망분야 5개 기술, 차세대 의료기기, 청정기술 등 삶의 질 관련 5개 기술로 구성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