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ETRI,KANC(나노소자특화팹센터)와 MOU 체결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06-08-24
- 등록일 2006-08-24
- 권호
- 화합물반도체 분야 공동협력 및 기술교류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임주환)는 24일, 원내에서 나노소자특화팹센터와 화합물반도체 소재 및 부품분야 공동협력 및 세미나 등을 통한 기술교류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MOU를 체결
□이날 ETRI IT융합∙부품연구소가 KANC와 체결한 주요 협력 내용으로는 ▲ 화합물반도체 전자소자 기술 ▲ 광소자 기술 ▲ 패키징 기술을 비롯한 시스템 적용화 기술 ▲ 반도체실험실 운영 기술 등 상호 교류 가능한 기술분야를 포함함
□ETRI는 KANC와의 MOU체결을 통하여 초고속 무선통신소자, 광통신용 소자, 패키징 기술 등 ETRI의 관련분야 원천기술을 KANC로 기술 이전하여 IT관련 소자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 질것으로 보고 있음
□ETRI IT융합∙부품연구소 오수영 소장은 "ETRI와 MOU를 계기로 화합물반도체 분야에서 연구개발 및 상용화 기술개발을 비롯, 상호 협력을 더욱 강화함은 물론, 국내 화합물반도체 기술 발전을 통한 IT 부품 소재기술 개발에서 상호 윈윈할수 있는 발전의 토대를 만들었다“ 고 말했음
□또한, 나노소자특화팹센터 이중원 대표이사는 “이번 MOU 체결을 통해 센터와 ETRI IT융합∙부품연구소의 다양한 기술개발의 노하우와 연구 인력을 공동 활용하여 나노기술 및 화합물반도체 관련 산업화를 앞당길 계기로 만들어가겠다”고 밝혔음
□한편, 이날 ETRI와 MOU를 체결한 나노소자특화팹센터는 2003년에 설립된 재단법인으로 과학기술부가 시행하는 국가핵심 연구기반구축사업의 일환인 화합물반도체를 포함, 나노소자 기술 분야에서 원천기술의 연구개발 및 조기산업화를 지원할 수 있는 장비와 시설이 구축되어 있는 곳으로 국내 산‧학‧연의 공동 활용이 가능한 나노소자분야의 연구개발 지원기관임
이날 ETRI와 MOU를 체결한 KANC 측에서는 이중원 대표와 윤용훈 기술고문 등이 참석했음
[용어설명]
- 화합물반도체 전자소자 기술:
갈륨비소(GaAs), 임듐인(InP) 등 화합물반도체 기판을 이용하여 MESFET, HEMT, HBT 등의 소자 및 이를 인덕터, 커패시터, 레지스터 등 수동소자와 함께 집적한 MMIC(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기술
- 광소자 기술 :
빛을 머리카락 굵기의 미세한 반도체 안에서 발광시키고 증폭하고, 교환 및 처리하고 감지할 수 있는 기능성 부품으로, 대표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들 수 있으며 광통신시스템, 무선 광중계기, 교통신호등, 광홈네트웍, 의료용 시스템, 지능형 로봇등 차세대 유비쿼터스 네트웍의 핵심 신호원 및 센서로서 폭넓게 활용 가능하다.
- 패키징 기술 :
패키징 기술이란 제작된 화합물 반도체 전자/광소자 칩을 외부 환경으로 부터 보호하며, 집적화하여 시스템적 기능을 부여하는 기술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임주환)는 24일, 원내에서 나노소자특화팹센터와 화합물반도체 소재 및 부품분야 공동협력 및 세미나 등을 통한 기술교류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MOU를 체결
□이날 ETRI IT융합∙부품연구소가 KANC와 체결한 주요 협력 내용으로는 ▲ 화합물반도체 전자소자 기술 ▲ 광소자 기술 ▲ 패키징 기술을 비롯한 시스템 적용화 기술 ▲ 반도체실험실 운영 기술 등 상호 교류 가능한 기술분야를 포함함
□ETRI는 KANC와의 MOU체결을 통하여 초고속 무선통신소자, 광통신용 소자, 패키징 기술 등 ETRI의 관련분야 원천기술을 KANC로 기술 이전하여 IT관련 소자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 질것으로 보고 있음
□ETRI IT융합∙부품연구소 오수영 소장은 "ETRI와 MOU를 계기로 화합물반도체 분야에서 연구개발 및 상용화 기술개발을 비롯, 상호 협력을 더욱 강화함은 물론, 국내 화합물반도체 기술 발전을 통한 IT 부품 소재기술 개발에서 상호 윈윈할수 있는 발전의 토대를 만들었다“ 고 말했음
□또한, 나노소자특화팹센터 이중원 대표이사는 “이번 MOU 체결을 통해 센터와 ETRI IT융합∙부품연구소의 다양한 기술개발의 노하우와 연구 인력을 공동 활용하여 나노기술 및 화합물반도체 관련 산업화를 앞당길 계기로 만들어가겠다”고 밝혔음
□한편, 이날 ETRI와 MOU를 체결한 나노소자특화팹센터는 2003년에 설립된 재단법인으로 과학기술부가 시행하는 국가핵심 연구기반구축사업의 일환인 화합물반도체를 포함, 나노소자 기술 분야에서 원천기술의 연구개발 및 조기산업화를 지원할 수 있는 장비와 시설이 구축되어 있는 곳으로 국내 산‧학‧연의 공동 활용이 가능한 나노소자분야의 연구개발 지원기관임
이날 ETRI와 MOU를 체결한 KANC 측에서는 이중원 대표와 윤용훈 기술고문 등이 참석했음
[용어설명]
- 화합물반도체 전자소자 기술:
갈륨비소(GaAs), 임듐인(InP) 등 화합물반도체 기판을 이용하여 MESFET, HEMT, HBT 등의 소자 및 이를 인덕터, 커패시터, 레지스터 등 수동소자와 함께 집적한 MMIC(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기술
- 광소자 기술 :
빛을 머리카락 굵기의 미세한 반도체 안에서 발광시키고 증폭하고, 교환 및 처리하고 감지할 수 있는 기능성 부품으로, 대표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들 수 있으며 광통신시스템, 무선 광중계기, 교통신호등, 광홈네트웍, 의료용 시스템, 지능형 로봇등 차세대 유비쿼터스 네트웍의 핵심 신호원 및 센서로서 폭넓게 활용 가능하다.
- 패키징 기술 :
패키징 기술이란 제작된 화합물 반도체 전자/광소자 칩을 외부 환경으로 부터 보호하며, 집적화하여 시스템적 기능을 부여하는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