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산자부,핵심소재 개발에 10년간 8500억원 투입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산업통상자원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8-24
- 등록일 2006-08-25
- 권호
2015년 소재강국 실현을 위한 핵심 원천기술개발 본격 추진한다.
- 산자부, 향후 10년간 8천 5백억원 규모 지원키로 -
□ 정부는 2007년부터 향후 10년간 총 8천 5백억원 규모의 재정을 투입하여 50대 핵심소재 원천기술을 개발(7,300억원)과 소재정보은행(Materials Bank)*, 전문인력 양성, 국제협력.표준화 지원 등 소재 인프라를 구축(1,200억원)할 계획
* 소재관련 정보(물성.공정.인력.시장정보 등)를 생산.가공.보급하는 전문기관
ㅇ 이를 위해 국내 최초로 소재분야 미래시장 선점 및 수입대체를 위한 핵심원천기술개발에 독일, 일본 등 소재 선진국과 유사한 장기(최장 10년) 프로그램이 운영됨
□ 산업자원부(장관 丁世均)는 8.24일 오전 10시 백범기념관에서 가진 “소재전문가와 산업자원부장관과의 만남”에서 「소재강국 실현을 위한 발전비전 및 전략」을 발표하였음
ㅇ 산자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경 수출 1,500억불, 무역수지 160억불 달성과 함께 21조원의 미래시장 선점 및 7조원의 수입대체 효과를 창출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ㅇ 선진국 대비 원천기술 90%를 확보하여 소재 선진강국에 진입한다는 비전으로 요약됨
- 산자부, 향후 10년간 8천 5백억원 규모 지원키로 -
□ 정부는 2007년부터 향후 10년간 총 8천 5백억원 규모의 재정을 투입하여 50대 핵심소재 원천기술을 개발(7,300억원)과 소재정보은행(Materials Bank)*, 전문인력 양성, 국제협력.표준화 지원 등 소재 인프라를 구축(1,200억원)할 계획
* 소재관련 정보(물성.공정.인력.시장정보 등)를 생산.가공.보급하는 전문기관
ㅇ 이를 위해 국내 최초로 소재분야 미래시장 선점 및 수입대체를 위한 핵심원천기술개발에 독일, 일본 등 소재 선진국과 유사한 장기(최장 10년) 프로그램이 운영됨
□ 산업자원부(장관 丁世均)는 8.24일 오전 10시 백범기념관에서 가진 “소재전문가와 산업자원부장관과의 만남”에서 「소재강국 실현을 위한 발전비전 및 전략」을 발표하였음
ㅇ 산자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경 수출 1,500억불, 무역수지 160억불 달성과 함께 21조원의 미래시장 선점 및 7조원의 수입대체 효과를 창출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ㅇ 선진국 대비 원천기술 90%를 확보하여 소재 선진강국에 진입한다는 비전으로 요약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