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무인화 기술 및 수중 통신/탐지 특화연구센터 설립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방위사업청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8-25
- 등록일 2006-08-25
- 권호
□ 방위사업청은 대학을 중심으로 한 연구기관에 국방 핵심연구개발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국방 무인화 기술 및 수중 통신/탐지 등 신규 국방 특화연구센터 2개소 설립 제안서 공모를 실시
□ 특화연구센터 제안서 공모는 8월 25일(금) 방위사업청 홈페이지 (www.dapa.go.kr) 및 국방과학연구소 홈페이지(www.add.re.kr)에 3개월 동안 게시함. 이와 관련하여 방위사업청은 9월 1일(금) 14시에 국과연 산학협력관(대전)에서 「제안서 작성 설명회」를 개최하고 평가를 통해 2007년 2월경 최종 선정과 함께 3월경에 유치대학에서 개소식을 개최 할 예정
□ 특화연구센터는 그동안의 단기적 연구 지원 체계에서 벗어나 장기적이고 안정된 국방분야 연구 환경조성 및 연구 인력 양성을 위해 설치되고 있으며, 특화센터로 지정된 대학은 3단계에 걸쳐 각 단계별 엄정한 평가과정을 통해 연평균 10억원 이상의 연구비를 최장 9년동안 지원받게 됨
□ 이번에 공모되는 ‘국방 무인화기술 특화연구센터’는 자율주행기술, 자율운항기술, 자율비행기술, 로봇메카니즘 및 제어, 무인화체계 운영 및 통신망 등 5개의 연구실로 구성되어 운영되며 향후 한국형 무인전투체계 사업에 필요한 무인화 체계관련 기초기술 연구를 수행하게 됨. 무인화 무기체계 기술은 미래 입체전투 환경속에서 무인전투능력을 확보하고 인명 손실을 최소화하는데 꼭 필요한 기술로써 IT/BT 융합으로 미래 로봇병사 구축에도 크게 기여하게 될 것임
□ ‘국방 수중 통신/탐지 특화연구센터’에는 수중통신신호, 수중탐지, 수중통신센서, 및 음파채널 등 4개의 연구실이 설치 운영되며, 광범위한 해역에서의 감시 및 합동 해상 작전 수행에서 필요한 다자간 수중 통신/탐지 정보 전달 인프라 구축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게 됨
□ 1994년부터 시작된 국방특화연구센터 사업은 방위사업청 개청과 더불어 올해 4월 ‘국방MEMS응용(포항공대)’ 분야와 ‘국방 S/W설계(KAIST)’ 분야가 개소됨으로써 ‘06년 현재 총 7개소가 운영되고 있음
□ 특화연구센터 제안서 공모는 8월 25일(금) 방위사업청 홈페이지 (www.dapa.go.kr) 및 국방과학연구소 홈페이지(www.add.re.kr)에 3개월 동안 게시함. 이와 관련하여 방위사업청은 9월 1일(금) 14시에 국과연 산학협력관(대전)에서 「제안서 작성 설명회」를 개최하고 평가를 통해 2007년 2월경 최종 선정과 함께 3월경에 유치대학에서 개소식을 개최 할 예정
□ 특화연구센터는 그동안의 단기적 연구 지원 체계에서 벗어나 장기적이고 안정된 국방분야 연구 환경조성 및 연구 인력 양성을 위해 설치되고 있으며, 특화센터로 지정된 대학은 3단계에 걸쳐 각 단계별 엄정한 평가과정을 통해 연평균 10억원 이상의 연구비를 최장 9년동안 지원받게 됨
□ 이번에 공모되는 ‘국방 무인화기술 특화연구센터’는 자율주행기술, 자율운항기술, 자율비행기술, 로봇메카니즘 및 제어, 무인화체계 운영 및 통신망 등 5개의 연구실로 구성되어 운영되며 향후 한국형 무인전투체계 사업에 필요한 무인화 체계관련 기초기술 연구를 수행하게 됨. 무인화 무기체계 기술은 미래 입체전투 환경속에서 무인전투능력을 확보하고 인명 손실을 최소화하는데 꼭 필요한 기술로써 IT/BT 융합으로 미래 로봇병사 구축에도 크게 기여하게 될 것임
□ ‘국방 수중 통신/탐지 특화연구센터’에는 수중통신신호, 수중탐지, 수중통신센서, 및 음파채널 등 4개의 연구실이 설치 운영되며, 광범위한 해역에서의 감시 및 합동 해상 작전 수행에서 필요한 다자간 수중 통신/탐지 정보 전달 인프라 구축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게 됨
□ 1994년부터 시작된 국방특화연구센터 사업은 방위사업청 개청과 더불어 올해 4월 ‘국방MEMS응용(포항공대)’ 분야와 ‘국방 S/W설계(KAIST)’ 분야가 개소됨으로써 ‘06년 현재 총 7개소가 운영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