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국가과학자 선정 민간 입김 세진다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06-08-28
- 등록일 2006-08-28
- 권호
국가과학자(옛 최고과학자)를 뽑는 국가과학자위원회가 정부위원 중 대통령 정보과학기술 보좌관을 제외하고 민간 비중을 확대한다.
과학기술부는 지난달 제17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논의한 민간위원 비중 확대 방침에 따라 박영일 과학기술부 차관, 김선화 대통령 정보과학기술 보좌관, 권오갑 한국과학재단 이사장 등 당연직 정부위원 3명 가운데 정보과학기술 보좌관을 제외한다고 27일 밝혔다.
현재 국가과학자위원회는 △임관 위원장(삼성종합기술원 회장)을 중심으로 한 민간 위촉위원 7명 △당연직 정부 위원 3명 △황우석 박사 지위 박탈 이후 공석으로 남아 있는 국가(최고)과학자 1명 등 총 11명으로 구성돼 있다.
과기부는 황 박사 사태 이후 △민간위원 비중 확대 △청와대 인사 참여의 적정성에 대한 지적이 나와 정부위원직 중 보좌관 몫을 제외키로 했다.
과기부는 이미 민간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황에서 정부위원 비중을 줄일 필요가 없다는 의견이 제기돼 교체 여부를 고민하기도 했으나 나머지 민간 부문도 기초기술연구회·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장 등 사실상 정부관계 인사 성격이 짙고 해당사업이 부처 고유사업이라는 점에서 과기 보좌관을 빼기로 결정했다. 청와대 측 역시 별다른 이견 없이 동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과기부는 현재 공석중인 국가과학자 임명자 몫도 제외키로 했다. 기존 위원회는 선정자 가운데 한 명에 민간위원을 포함시켰으나 평가자와 피평가자의 혼선을 야기한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한편 과기부는 다음달 초 5차 국가과학자위원회를 소집, 새로운 위원 선정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호준기자@전자신문, newlevel@etnews.co.kr
*전자신문 참조
과학기술부는 지난달 제17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논의한 민간위원 비중 확대 방침에 따라 박영일 과학기술부 차관, 김선화 대통령 정보과학기술 보좌관, 권오갑 한국과학재단 이사장 등 당연직 정부위원 3명 가운데 정보과학기술 보좌관을 제외한다고 27일 밝혔다.
현재 국가과학자위원회는 △임관 위원장(삼성종합기술원 회장)을 중심으로 한 민간 위촉위원 7명 △당연직 정부 위원 3명 △황우석 박사 지위 박탈 이후 공석으로 남아 있는 국가(최고)과학자 1명 등 총 11명으로 구성돼 있다.
과기부는 황 박사 사태 이후 △민간위원 비중 확대 △청와대 인사 참여의 적정성에 대한 지적이 나와 정부위원직 중 보좌관 몫을 제외키로 했다.
과기부는 이미 민간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황에서 정부위원 비중을 줄일 필요가 없다는 의견이 제기돼 교체 여부를 고민하기도 했으나 나머지 민간 부문도 기초기술연구회·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장 등 사실상 정부관계 인사 성격이 짙고 해당사업이 부처 고유사업이라는 점에서 과기 보좌관을 빼기로 결정했다. 청와대 측 역시 별다른 이견 없이 동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과기부는 현재 공석중인 국가과학자 임명자 몫도 제외키로 했다. 기존 위원회는 선정자 가운데 한 명에 민간위원을 포함시켰으나 평가자와 피평가자의 혼선을 야기한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한편 과기부는 다음달 초 5차 국가과학자위원회를 소집, 새로운 위원 선정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호준기자@전자신문, newlevel@etnews.co.kr
*전자신문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