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생명硏, 새로운 항암물질 개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8-30
- 등록일 2006-08-31
- 권호
□한국생명공학연구원(생명硏, 원장 이상기)은 바이오평가센터 김환묵 박사팀과 의약유전체연구센터 원미선 박사팀이 부작용은 적고 효과는 우수한 새로운 항암물질 개발에 성공하였다고 30일 밝혔음
□연구팀은 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RhoB’를 타겟으로 하는 저분자 화합물을 합성하였으며, 이를 위암, 전립선암에 걸린 생쥐에 투여한 결과 암 세포의 증식이 현저히 억제될 뿐만 아니라 기존 항암제 투여시 관찰되는 체중 감소 부작용도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음
□생명硏 김환묵 박사는 “금번 성과는 RhoB를 조절하는 신물질을 개발하여 항암효과를 동물실험을 통해 입증한 것”이라고 밝히고, “항암 효과가 우수하고 독성 측면에서도 안전하여 신규 항암제 개발 분야에서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게 되었다”고 말했음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항암물질에 대해 특허를 출원하였고, 이를 제품화하기 위하여 (주)서울제약(대표이사 황우성)과 8월 30일 오전 10시 생명硏 본관동 소회의실에서 기술이전실시계약(기술료 3억원, 선급금 1억원, 경상실시료 총매출액의 3%)을 체결
□한편, 이번에 기술실시계약을 체결한 (주)서울제약은 코스닥등록 벤처기업으로서 신물질 및 약물전달기술을 이용한 개량신약 개발 등 활발한 연구활동을 벌이고 있는 연구중심의 중소 제약기업임
□(주)서울제약 황우성 대표는 “당사는 이미 항암제로 개발 진행 중인 신물질 SPK compounds와 함께 이번에 RhoB를 조절하는 신물질을 생명硏으로부터 기술이전 받음으로써 본격적으로 항암제 신약 개발을 가속화할 계획이다”고 밝혔음
□연구팀은 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RhoB’를 타겟으로 하는 저분자 화합물을 합성하였으며, 이를 위암, 전립선암에 걸린 생쥐에 투여한 결과 암 세포의 증식이 현저히 억제될 뿐만 아니라 기존 항암제 투여시 관찰되는 체중 감소 부작용도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음
□생명硏 김환묵 박사는 “금번 성과는 RhoB를 조절하는 신물질을 개발하여 항암효과를 동물실험을 통해 입증한 것”이라고 밝히고, “항암 효과가 우수하고 독성 측면에서도 안전하여 신규 항암제 개발 분야에서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게 되었다”고 말했음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항암물질에 대해 특허를 출원하였고, 이를 제품화하기 위하여 (주)서울제약(대표이사 황우성)과 8월 30일 오전 10시 생명硏 본관동 소회의실에서 기술이전실시계약(기술료 3억원, 선급금 1억원, 경상실시료 총매출액의 3%)을 체결
□한편, 이번에 기술실시계약을 체결한 (주)서울제약은 코스닥등록 벤처기업으로서 신물질 및 약물전달기술을 이용한 개량신약 개발 등 활발한 연구활동을 벌이고 있는 연구중심의 중소 제약기업임
□(주)서울제약 황우성 대표는 “당사는 이미 항암제로 개발 진행 중인 신물질 SPK compounds와 함께 이번에 RhoB를 조절하는 신물질을 생명硏으로부터 기술이전 받음으로써 본격적으로 항암제 신약 개발을 가속화할 계획이다”고 밝혔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