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한국 정부 홈페이지 세계 1위 우뚝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주제분류 과학기술문화
- 원문발표일 2006-09-04
- 등록일 2006-09-05
- 권호
- 지난해 86위에서 1위로 급상승 -
- 북한도 지난해 183위에서 17위로 껑충 -
□ KOTRA 시카고 무역관에 따르면, 미국 브라운 대학이 발표한 「Global E-Government, 2006」조사에서 한국 정부 홈페이지가 조사대상 198개국 중 1위를 기록, 지난해 86위에서 급상승 한 것으로 나타났음
□ 동 조사는 총 198개국의 1,782개의 정부 웹사이트를 21개 항목과 온라인 서비스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한국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 1위를 차지하였으며, 대만(2위), 싱가포르(3위), 미국(4위), 캐나다(5위) 순으로 나타났음
□ 한국이 2004년도 32위, 2005년도 86위 등 상대적으로 최악의 평가를 받았으나, 이번 2006년 조사결과에서는 대폭 상승한 1위를 기록하였다는 점이 주목할 만 함
□ 한국 정부 홈페이지가 다른 국가들에 비해 풍부한 정보와 서비스를 담고 있으며, 한국 정부 포털 사이트 한 곳에서 약 500개 이상의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질과 양적으로 우수하다는 점을 고평가 요인으로 꼽았음
□ 한국 정부 부처 홈페이지들은 세금 보고, 고시 합격자 명단, 이산가족 상봉 등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또한 음성 및 비디오 서비스를 활용하여 이용자 이해도를 높이고 있음 그리고 조사 대상 홈페이지 대부분이 무선 접속이나 개인휴대단말기(PDA)와 연결되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 이용자의 편의를 더했다. 수려한 홈페이지 디자인은 시선을 끌기에 충분하며,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체계를 갖추고 있는 것 또한 장점으로 평가됐음
□ 이번 조사에서 또한 주목할 만한 점이 있는데, 바로 북한이 17위를 차지한 것이다. 지난해 북한은 183위로 조사대상국 198개국 중 거의 최하위를 기록했으나 정부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대폭적인 개선을 통해 순위가 급상승 한 것으로 평가됐음
□ 이번 조사의 주요 평가 항목은 온라인 출판,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오디오/비디오 클립, 외국어 번역, 상업 광고, 프리미엄, 사용료, 장애인 접속, 프라이버시 정책, 보안 장치, 온라인 서비스 유무, 서비스 종류, 디지털 서명, 신용카드 지불, 이메일 주소, 회신 양식, 자동 이메일 업데이트, 개인 홈페이지화, PDA 접속, 홈페이지의 영문판 제공 수준으로 구성되어 있음
- 북한도 지난해 183위에서 17위로 껑충 -
□ KOTRA 시카고 무역관에 따르면, 미국 브라운 대학이 발표한 「Global E-Government, 2006」조사에서 한국 정부 홈페이지가 조사대상 198개국 중 1위를 기록, 지난해 86위에서 급상승 한 것으로 나타났음
□ 동 조사는 총 198개국의 1,782개의 정부 웹사이트를 21개 항목과 온라인 서비스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한국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 1위를 차지하였으며, 대만(2위), 싱가포르(3위), 미국(4위), 캐나다(5위) 순으로 나타났음
□ 한국이 2004년도 32위, 2005년도 86위 등 상대적으로 최악의 평가를 받았으나, 이번 2006년 조사결과에서는 대폭 상승한 1위를 기록하였다는 점이 주목할 만 함
□ 한국 정부 홈페이지가 다른 국가들에 비해 풍부한 정보와 서비스를 담고 있으며, 한국 정부 포털 사이트 한 곳에서 약 500개 이상의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질과 양적으로 우수하다는 점을 고평가 요인으로 꼽았음
□ 한국 정부 부처 홈페이지들은 세금 보고, 고시 합격자 명단, 이산가족 상봉 등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또한 음성 및 비디오 서비스를 활용하여 이용자 이해도를 높이고 있음 그리고 조사 대상 홈페이지 대부분이 무선 접속이나 개인휴대단말기(PDA)와 연결되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 이용자의 편의를 더했다. 수려한 홈페이지 디자인은 시선을 끌기에 충분하며,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체계를 갖추고 있는 것 또한 장점으로 평가됐음
□ 이번 조사에서 또한 주목할 만한 점이 있는데, 바로 북한이 17위를 차지한 것이다. 지난해 북한은 183위로 조사대상국 198개국 중 거의 최하위를 기록했으나 정부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대폭적인 개선을 통해 순위가 급상승 한 것으로 평가됐음
□ 이번 조사의 주요 평가 항목은 온라인 출판,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오디오/비디오 클립, 외국어 번역, 상업 광고, 프리미엄, 사용료, 장애인 접속, 프라이버시 정책, 보안 장치, 온라인 서비스 유무, 서비스 종류, 디지털 서명, 신용카드 지불, 이메일 주소, 회신 양식, 자동 이메일 업데이트, 개인 홈페이지화, PDA 접속, 홈페이지의 영문판 제공 수준으로 구성되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