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제 2차 생명공학육성 기본계획 공청회(06.9.5~15)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s&T net (과학기술네트워크)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9-07
- 등록일 2006-09-11
- 권호
□ 과학기술부는 지난 1994년 타 부처가 관심을 기울이지 않던 생명공학을 미래유망분야로 발굴, 관계부처와 공동으로 「제1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94~’06)을 수립하고 관련 지원 정책을 꾸준히 추진하여 왔습니다.
□ 이러한 정부의 노력과 연구인, 관련 산업계의 노력이 합하여져 최근 다양한 측면에서 가시적인 성과가 도출되고 있습니다. 정부의 연구개발투자는 제1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상의 투자계획 대비 93%의 실적을 보이고 있으며 SCI 기준 국제논문 건수에서 '94년 세계 29위에서 작년에는 13위로 올라섰고, 특허를 통해 본 기술력지수도 ’94년 21위에서 작년에는 14위로 상승하는 등 생명공학의 토대가 어느 정도 구축되었다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우리의 생명공학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키기 위해 과학기술부에서는 현재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07~16)“ 수립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 이에 현재까지 마련된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초안에 대한 사이버공청회를 개최하오니 동 계획이 우리 생명공학의 살아있는 이정표가 될 수 있도록 각계 전문가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목차
제1부. 계획수립 및 추진성과
1. 계획수립의 배경 및 범위
2. 제1차 기본계획(’94~’06) 추진 실적과 성과
제2부. 생명공학육성 비전과 전략
1. 생명공학 현황 및 전망
2. 추진 비전 및 목표
3. 추진전략 및 실천 과제
4. 소요예산 및 인력
제3부 주요 분야별 세부계획
1. 생명과학 분야
2. 보건의료 분야
3. 농축산ㆍ식품 분야
4. 환경ㆍ해양ㆍ공정 분야
5. 융합분야
□ 이러한 정부의 노력과 연구인, 관련 산업계의 노력이 합하여져 최근 다양한 측면에서 가시적인 성과가 도출되고 있습니다. 정부의 연구개발투자는 제1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상의 투자계획 대비 93%의 실적을 보이고 있으며 SCI 기준 국제논문 건수에서 '94년 세계 29위에서 작년에는 13위로 올라섰고, 특허를 통해 본 기술력지수도 ’94년 21위에서 작년에는 14위로 상승하는 등 생명공학의 토대가 어느 정도 구축되었다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우리의 생명공학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키기 위해 과학기술부에서는 현재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07~16)“ 수립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 이에 현재까지 마련된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초안에 대한 사이버공청회를 개최하오니 동 계획이 우리 생명공학의 살아있는 이정표가 될 수 있도록 각계 전문가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목차
제1부. 계획수립 및 추진성과
1. 계획수립의 배경 및 범위
2. 제1차 기본계획(’94~’06) 추진 실적과 성과
제2부. 생명공학육성 비전과 전략
1. 생명공학 현황 및 전망
2. 추진 비전 및 목표
3. 추진전략 및 실천 과제
4. 소요예산 및 인력
제3부 주요 분야별 세부계획
1. 생명과학 분야
2. 보건의료 분야
3. 농축산ㆍ식품 분야
4. 환경ㆍ해양ㆍ공정 분야
5. 융합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