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BT-IT-NT를 하나로! (물질 분석 바이오센서 특허 출원 급증)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특허청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10-24
  • 등록일 2006-10-25
  • 권호
테러리스트의 생화학 무기 탐지, 암세포 추적, 당뇨병 진단, 음주측정, 환경오염 감시 등 바이오센서의 활용분야가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

바이오센서는 생체 유기물 상호 간의 반응을 전기적, 광학적으로 감지하여 특정물질을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장치로서, 생명공학기술(BT)을 정보공학기술(IT) 및 나노기술(NT)과 어우르는 미래형 융합 기술(BINT)이며, 각종 질병의 진단·예측 및 신약개발에 이용될 수 있고 더 나아가 단백질 구조를 분석해 인공 유전자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응용분야가 무궁무진한 미래 유망산업이다.

초기 바이오센서는 이동이 자유롭고 즉각적인 감지가 가능한 특성 때문에 신속한 진료를 요하는 의료용 바이오센서가 전체 바이오센서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최근 들어서는 의료 분야 이외에 환경 분야(환경 호르몬 및 농약 등의 검출), 식품가공 분야(식품 품질 규제), 군사 분야(탄저균 등의 생화학 무기 감지) 등 의 다양한 분야로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바이오센서에 관한 특허 출원도 2000년까지 106건에 불과하였으나, 2001년부터 현재까지 327건이 출원되는 등 최근 들어 급속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광학적 바이오센서 및 나노기술(NT) 관련 출원이 전체 출원의 40%, 10% 정도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특히 나노기술(NT) 출원의 경우 1건을 제외하고 모두 2001년 이후 출원된 기술이며, 대표적인 기술로는 전도성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바이오센서(출원 번호 제10-2003-0038232호, 한국과학기술원), 산화아연계 나노막대를 이용한 바이오센서(출원 번호 제10-2003-88668호, 포항공대) 등이 있다.

그 밖에 국내에서 특허 출원된 주요 기술로는 현장진단이 가능한 의료용 바이오센서 시스템(출원 번호 제10-2004-0028440호, 바이오디지트(주)), 혈청 콜레스테롤 측정 및 분석 장치(출원 번호 제10-2005-7018727호, 미국 콜레스테크코포레이션), 회전하는 프리즘 디스크와 마이크로 스캐닝 미러를 채용한 휴대용 바이오칩 스캐너(출원 번호 제10-2005-0005023호, 삼성전자(주)) 등이 있다.

이러한 추세라면 우리 나라가 기존에 우위를 점하고 있던 정보공학기술(IT)을 기반으로 생명공학기술(BT)과 나노기술(NT)을 접목한 바이오센서가 본격적으로 상용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의료 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의 물질 분석과 관련된 새로운 시장이 개척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비하여 특허권을 조기 확보하고자 하는 또 다른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