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과기부, ‘03-‘05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발간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06-11-02
- 등록일 2006-11-08
- 권호
범부처 차원에서 발간되는 최초의 우수연구성과 사례집
과학기술부는 최근 3년간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하여 창출된 우수 성과 사례집을 발간하였다.
동 사례집은 일선 현장에서 연구를 수행중인 과학기술인들의 땀과 노력이 한데 모여 일구어낸 우수 연구성과 사례를 발굴하여 홍보함으로써 과학기술에 대한 일반국민들의 관심과 이해를 증진시키고 우수 성과를 창출한 과학기술인들의 자긍심을 고취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발간된 것이다.
이번에 발간된 ‘03-’05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은 기존의 연구성과 사례집들과는 몇 가지 다른 특징이 있다.
첫째로 종전의 성과사례집들이 개별 부처 또는 연구기관 차원에서 이루어졌다면, 이번 사례집은 범부처 차원에서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포괄하는 우수성과를 발굴하여 소개했다는 점이다. 과학기술혁신본부는지난 6월 과학기술부 홈페이지에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 발굴 및 접수 안내’에 관한 공지와 더불어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18개 부처·청에 의뢰하여 각 부처별로 선별과정을 거쳐 채택된 우수성과 후보를 7월말까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을 통해 수집하였다. 접수된 총 393개의 우수성과 후보에 대해 과학기술혁신본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은 기술분야별 선정위원회와 총괄위원회를 구성하여 2단계에 걸친 엄격한 심의를 거쳐 우수성과 100선을 선정하게 된 것이다.
둘째, 기존의 사례집들은 전문학술 관점에서 작성되어 일반인이 이해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번 사례집은 일반인의 눈높이에 맞추어 알기 쉽게 설명하고, 10개 테마로 재분류하여 소개함으로써 일반국민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위하여 구성작가를 섭외, ‘세계의 수준은 어디까지 와 있나요?’, ‘파급효과는 어느정도 인가요?’, ‘앞으로 이렇게 달라집니다!’ 등으로 성과를 소개하고, 연구자의 연구후일담 코너를 마련하여 연구수행과정에서의 난관 극복과정이나 에피소드 등을 엿볼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우수성과 선정절차와 방법을 체계화하여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산하 기획·예산조정전문위원회 위원들과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평가에 참여중인 평가위원들을 중심으로 정보·전자, 기계·소재, 생명·해양, 에너지·환경 등 4개 기술분야별 소위원회를 구성·운영하였다. 4개 소위원회는18개 부처·청으로부터 추천된 우수성과 후보들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우수성과를 1.2배수로 압축하였다. 이후 4개 소위원회 위원장, 산학연 전문가, 언론인 등으로 구성된 총괄위원회에서 우수성과 100선을 최종 확정하게 되었다. 혁신성, 과학기술격차 해소 여부 등 성과의 우수성과 지식증진, 공공복지 향상, 산업경쟁력 제고에 대한 기여 등 성과의 파급효과 등을 기준으로 우수성과를 선정하였다.
동 사례집에 수록된 우수성과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주체별로는 출연연, 대학, 기업 등이 각각 57%, 27%, 16%를 차지하였고, 기술분야별로는 정보·전자, 기계·소재, 생명·해양, 에너지·환경분야가 각각 31%, 24%, 29%, 16%를 차지하였다. 또한 성과창출 연도별로는 2005년 74%, 2004년 20%, 2003년 6% 등으로 구성되어 2003년이후 해가 거듭될수록 창출되는 우수성과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수성과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생명공학분야를 중심으로 NSC(네이처, 사이언스, 셀) 등 세계적으로 우수한 학술지에 기고되는 논문수가 9편에 달하고 있고, 공학분야의 NSC라고 불리우는 IEEE저널에 기고된 논문도 15편에 이르고 있다. 또한 우수성과의 70%가 특허등록을 마쳤고, 기술실시계약 등을 통한 사업화가 진행중이거나 사업화가 이미 완료된 성과도 6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업화가 완료된 성과의 경우 최근 3개년간 매출액이 약 7~8천억원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앞으로도 사업화에 의한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