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Global Korea Scholarship’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09-03-17
  • 등록일 2009-03-18
  • 권호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국가브랜드위원회 제1차 보고회의에서 ‘Global Korea Scholarship'을 미국의 풀브라이트 사업과 같이 국가적 브랜드 사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미국과 일본이 각각 풀브라이트 프로그램, 문부과학성 유학생 사업을 통해 국제사회에 기여하고, 우호적 네트워크를 형성한 점에 주목하고,
ㅇ 선진국 진입단계에 있는 우리나라도 ‘성숙한 세계국가’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서는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글로벌 인재교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Global Korea Scholarship' 사업은
ㅇ 차세대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우수학생 대상 프로그램과 현재 각국의 지도층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ㅇ 학생대상 프로그램으로는 외국인 학생의 국내대학에서의 학위취득을 지원하는 장기 학위프로그램과 교환학생, 우수 자비유학생 지원 및 한국어·한국문화 연수 등 한국에서의 수학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단기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국내학생의 해외대학에서의 수학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별도로 운영된다.
ㅇ 또한 교수, 연구원, 공직자 등 현재 각 국 리더그룹의 한국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이러닝, 직업교육 등 우리나라 교육의 비교우위분야를 전파하기 위해 국내 대학·연구기관에서 연구활동 및 연수를 지원할 예정이다.
ㅇ 수혜대상은 재외공관 및 대학추천, 웹사이트 공모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모집하고, 학업성적, 수학계획서, 귀국 후 활동계획서 등을 평가·선발할 예정이며,
ㅇ 선발된 학생의 질 관리를 위해 지원기간 중 정기적으로 학업성적, 연구실적 등을 점검하여 고충상담 및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여 성공적으로 한국에서 유학생활을 마칠 수 있도록 지원한다.
ㅇ 재학 중에는 국가별·전공별 소모임, 사회봉사 등을 통해 국내 학생 및 지역사회와 교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귀국 후 국가별 동문회, 재초청 연수 등을 실시하여 한국과의 관계를 유지하도록 관리할 예정이다.


□ ‘Global Korea Scholarship'은 2009년 상반기 중 세부계획을 수립하여 재외공관, 한국교육원 등을 통해 홍보
하고, 2010년부터 본격 추진될 예정이다.


□ 아울러, 교육과학기술부는 아시아 국가 간 상호이해를 증진하고 대학 간 교류를 체계화하기 위하여 아시아 학생교류 프로그램(CAMPUS Asia)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ㅇ 교과부 관계자는 최근 국내 대학들의 국제화 전략에 따라 해외 대학과의 학생교류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나, 교류내용이 학점교류에 그치고 있고 대학 간 공동커리큘럼 개발이나 공동학위제도 등으로 발전하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하면서,
ㅇ 한·중·일을 중심으로 아시아 대학들이 문화적·학문적 강점을 결합한 공동커리큘럼 및 공동학위제도를 개발하여 학생들을 상호 교류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자료문의> ☎ 2100-6758 협력총괄과 과장 이인일, 서기관 박대림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