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지경부, 「한-슬로바키아 경제.산업 협력 MOU」 체결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지식경제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09-04-22
  • 등록일 2009-04-22
  • 권호


□ 국무총리 유럽순방 (독일, 체코, 슬로바키아, 네덜란드)을 수행중인 임채민(林采民) 지식경제부 1차관은
 4월 22일(수) 14시(현지시각) 슬로바키아 수도 브라티슬라바에서 한국 지식경제부 - 슬로바키아 경제부간의 
경제산업 협력 MOU에 서명하였음


 ㅇ 동 MOU 서명식은 한-슬로바키아 총리회담에 이어 양국 총리 임석하에 슬로바키아 총리청사에서 
진행되었으며 슬로바키아 측은 야흐나텍 (Ľubomír Jahnátek) 경제부 장관이 서명


□ 이에 따라, 양국 실물 경제를 총괄하고 있는 지식경제부와 슬로바키아 경제부는 제조업, 산업기술, 중소기업, 
정보통신 등 분야에서 양국간 투자 및 산업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함


 ㅇ 특히, 기업 및 개인간 합작 사업(joint project) 발굴 촉진, 전문가 및 기술자 교류 활성화, 양국간 세미나 
심포지움 초청 확대 등을 추진하기로 하였음


□ 또한 양 부처는 협력 확대 및 상호 관심사항 발굴 등을 위하여 양국 교차 개최를 원칙으로 부처간 
정례 협의회를 개최하기로 함

□ 임채민 차관은 동 MOU체결을 통해 우리업체의 투자 진출 등 양국간 경제 협력이 더욱 활발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ㅇ 특히, 슬로바키아는 이미 우리 기업*들이 진출하여 우리 업체의 유럽시장 진출을 위한 생산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


   * 삼성전자, 기아자동차, 현대모비스, 동일고무벨트 등 약 70여개 업체 진출


  - 현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우리 업체가 슬로바키아 GDP의 약 12% 기여하고 있음


 ㅇ 또한 ‘04년 EU에 신규 가입한 슬로바키아는 ‘09년 1월부터 유로화를 채택하여 금융위기속에서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비즈니스 기반을 갖추고 있음


  * 슬로바키아는 환율 안정 등으로 인해, 3대 신용평가기관(Moody’s, S&P, Fitch)으로부터 동유럽 국가 중 
가장 높은 국가신용등급을 받음


  * 실질경제 성장률 (%) : (‘07) 10.4→ (’08) 6.4 → (‘09) 2 (전망)


□ 지식경제부는 MOU에 따라 슬로바키아측과 논의하여 ‘09년 하반기 또는 ’10년 상반기 중 제 1차 
한 슬로바키아 경제협력 협의회 개최예정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