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기초연구사업 상반기 개인 연구과제 선정률 전년대비 7.2p% 증가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09-05-04
  • 등록일 2009-05-04
  • 권호


- 개인단위 기초연구과제 선정률 24.9%에서 32.1%로 제고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2009년도 상반기 일반연구자 및 중견연구자 신규과제 선정률이 
전년대비 약 7.2%p 증가하였다고 발표하였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4월24일 기초연구사업추진위원회를 개최하여 2009년도 상반기 일반연구자지원사업 및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개인 연구과제 총 3,587개를 선정하였다.
○ 일반연구자 지원사업에서는 8,878개 과제를 접수받아 3,268개 과제를 선정하여 신규과제 선정률은 전년대비 6.2%p가 증가한 36.8%였다.
○ 중견연구자 지원사업에서는 핵심연구과제와 도약연구과제 등 총 2,270개 과제를 접수받아 이 가운데
 319개 과제를 선정하였다.
- 핵심연구과제에는 1,712개 과제가 신청되어 이 가운데 232개 과제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률은 전년대비 
2.4%p 증가된 13.6%였다.
- 도약연구과제는 558개 신청 과제 가운데 87과제를 선정하여 구 국가지정연구실사업(NRL)의 선정률 보다
 4.1%p 높아진 15.6%의 선정률을 보였다.


■ 일반연구자지원 사업의 경우 전년대비 예산이 확대된 기본연구는 선정률이 20%p 높아졌지만, 신진연구 등은 연구비 단가 현실화 및 신청과제 수 증가로 전년보다 선정률이 감소되었다. 

○ 풀뿌리 기초연구 강화를 위해 예산이 전년대비 95% 증가한 기본연구의 경우에는 선정률이 49.9%로 
'08년에 비해 20%p 가량 높아졌다.
○ 그러나 신진연구는 예산(400억원)이 전년대비 45% 증액되었으나 연구비를 평균 50백만원으로 100% 상향
 조정함에 따라 선정률은 '08년 44.8%에서 올해는 27.6%로 낮아 졌다.
○ 여성과학자(120억원) 및 지역대학우수과학자(140억원)의 예산은 전년대비 각각 55.8%와 42.8%가 
증가되었지만, 신청과제수가 '08년에 비하여 각각 90%, 43.5% 증가함에 따라 선정률은 각각 13.1%p와 3.4%p가 낮아진 29% 및 14%로 나타났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기초연구 저변확대와 수혜율 제고 및 질적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2010년 풀뿌리 기초연구 예산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하반기에도 과제(약 480개)를 추가로 선정할 경우 금년도 개인단위 기초연구과제는 
총 6,300여개(계속과제 포함) 과제로 이공계 교수의 개인 소규모 기초연구비 수혜율이 '08년 16.7%에서 
금년에는 21%까지 제고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정부는 2012년까지 이공계 교수의 개인 기초연구비 수혜율을 35%수준까지 제고하기 위하여 정부 R&D예산에서 기초연구비를 계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자료문의> 
☎ 02-2100-6829, 기초연구지원과장 손재영, 사무관 오판동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