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국토해양부, 지능형 국토정보기술 - 신성장동력으로 키운다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국토해양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9-05-13
  • 등록일 2009-05-14
  • 권호


3년간 R&D 495억 투입, u-GIS 기술 세계 허브 도약 목표
지능형 국토정보기술, u-GIS


 국토해양부(장관 : 정종환)는 공간정보사업을 미래핵심 성장동력으로 키우기 위해, 오는 2011년까지 5년간 
약 1,300억원의 예산을투입하여 유비쿼터스 IT기술과 공간정보기술을 융·복합하는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R&D)을 추진하고 있다.


  ※ 공간정보사업 : 공간정보를 생산·관리·가공·유통하거나 다른 산업과 융·복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사업


본 사업을 통해 u-City, 텔레매틱스 등 차세대 산업의 원천 기술로 활용되는 기반 기술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국내 공간정보산업시장 규모의 확대는 물론, 국가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금년은 495억원을 투입한 1단계(’07년~’09년) 연구가 종료되는 시점으로, 1단계 연구성과를 홍보하고 
연구방향에 대한 의견수렴을 위해 관·산·학·연 전문가를 초청하여 ‘1단계 연구성과발표회’(5월 7일~8일, 
곤지암리조트)를 개최하였다.


인하대를 총괄기관으로 하는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은 경기도 곤지암리조트에서 열린 2차년도 
성과발표회에서 "1단계 연구를 통해 차세대 공간정보(u-GIS) 핵심기술 확보를 통해 세계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기반을 확립"했다고 밝혔으며, "2단계 연구를 통해 성과물의 상용화 작업을 시작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1단계 연구성과로는 기술실시계약 17건(기술료 수입 약 5억원), 특허출원 62건, 소프트웨어 등록 96건 등이
 있으며, 성과발표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다양한 연구에 대한 가시적인 성과가 도출되었다고 입을 모았다.


  ※ 기술실시계약 : 기업이 R&D를 통해 개발된 기술을 사용하여 상품을 개발할 경우 기술 사용권을 획득하기 
위해 기술 소유권을 가진 자와 맺는 계약으로 이윤 창출 가능성이 높을수록 기술실시계약 건수가 많아짐.


 2단계(‘10~’12년) 사업에서는 u-GIS 핵심기술에 대한 실용화/상업화를 실험, 검증하기 위해 공동실험장 지역을 
선정(지자체 대상으로 공모하여 선정)하고 실험을 위한 기반시설을 구축할 예정이다. 


공동실험장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정확한 공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u-국토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가 
명실상부한 세계 u-GIS 기술의 허브국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