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지경부,『융복합형 로봇전문인력양성』본격시행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지식경제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09-06-10
- 등록일 2009-06-10
- 권호
□ 지식경제부는 미래산업 청년리더 10만명 양성계획*의 일환으로 융복합형 로봇전문인력 양성사업을
올해부터 본격 가동
* 5년간 약 1조원을 지원하여 10만명의 청년리더 양성계획(‘08.9, 기획재정부 발표)
ㅇ ‘09년 ‘로봇특성화대학원과정’과 ’산학연계로봇연구센터’에 총 35억원을 지원하여 석박사급 로봇전문인력을
320명 정도 양성할 계획으로 지난 4월말 총 9개 사업수행기관*을 최종선정
ㅇ 본격사업 시행에 앞서 지식경제부는 6월 10일, ‘융복합형 로봇전문인력양성사업 종합 워크숍’을 통해 총 9개
사업수행기관의 ‘09년 사업 추진계획을 공유하고 향후 로봇인력양성사업의 확대방안을 논의
□ 로봇특성화대학원으로 최종선정된 한양대-인하대-부산대 컨소시엄은 9.6억원의 정부지원으로
로봇기술전반*에 걸친 로봇전공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올해 2학기부터 내년 1학기까지
100여명의 전공인력 모집
* 로봇제어및센서, 로봇지능및인지, 로봇비젼및HRI, 로봇용소프트웨어, 로봇디자인및설계
ㅇ 석박사인력의 로봇중소기업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 정부는 사업수행기관 선정평가시 지방대 참여에 가산점을
부여하였고 로봇중소기업과 고용계약시 학비의 80%를 지원하며 계속사업 평가시 로봇중소기업취업률 고려
ㅇ 또한, 정규과정 외에 산업체 인력 재교육을 위한 단기프로그램을 구성․운영토록하고 Capstone Design을
통해 기업의 애로기술을 주제로 교수-학생-산업체가 공동연구하게 하여 애로기술해결 및
학생의 실무능력강화
□ 산학연계 로봇연구센터는 한양대, 고려대, 성균관대, KAIST, 부산대, 포항공대 6개대학을 주관으로 8개센터가 선정되었고 정부는 올해 센터별로 약 3억원씩, 최장 5년간 지원할 예정
ㅇ 5가지 로봇기술* 중 기업의 수요가 큰 로봇세부기술에 대한 대학원생의 연구를 지원하여 석박사 로봇인력의
R&D능력을 향상시키고 로봇업체와의 공동연구, 현장애로기술해결, 기술이전 등의 산학협력 활성화
* 지능, 조작, 주행/위치인식, 인식/비젼, 액츄에이터/센서
ㅇ 동 사업에서도 석박사인력의 로봇중소기업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 정부는 사업수행기관 선정평가시 지방대
참여에 가산점을 부여하였고 계속사업 평가시 로봇중소기업취업률을 고려할 계획
□ 이날 행사에서 로봇인력양성전문가들은 로봇특성화대학원과정 및 산학연계 로봇연구센터의 확대방안으로
의료로봇 등 로봇기술과 타분야 기술과의 융합에 대비한 융복합 인력양성을 제안하고
ㅇ 석박사급 고급인력양성 중심의 現 융복합형 로봇전문인력양성사업을 보다 확대하여 대학인력의 현장수요를
반영한 실무인력양성에도 힘쓸 것을 정부에 건의
□ 이에따라 지식경제부는 2013년 세계 3대 로봇강국을 선도할 종합적인 로봇인력양성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ㅇ 신시장 주도형 융복합인력, 현장적합도가 높은 실무인력, 프로젝트 리더급 고급․전문인력 등
3대 인력양성 방향 하에
ㅇ ‘13년까지의 로봇인력양성계획을 로봇산학연으로 구성될 로봇인적자원개발협의체(SC)사업*을 활용해
올해 말까지 수립할 계획
* 인적자원개발협의체(SC)사업은 산업계 인력의 질적․양적 수요파악을 위한 민간협의체활동을 정부가
지원하는 사업으로 ‘09년 처음으로 로봇분야 SC사업이 선정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