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지경부, 신재생에너지의 핵심기술개발을 지원할 9개 원천기술연구센터 발족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지식경제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9-07-07
- 등록일 2009-07-09
- 권호
□ 해외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진 신재생에너지분야 핵심 원천기술을 연구하고, 신재생에너지분야
중소 벤처기업의 부족한 R&D능력을 지원할 9개 신재생에너지 원천기술연구센터가 정식으로 발족되었다.
□ 지식경제부(장관 이윤호)는 7.7일(화) 에너지기술평가원 대회의실에서 9개 신재생에너지 원천기술연구센터에
대한 현판 수여식을 개최하였다.
* 9개 원천기술연구센터는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해양에너지 등의 차세대 핵심기술분야와 신재생에너지 기술정책분야를 대상으로, 성균관대, 군산대, 과학기술원, 한국해양대학교 등 9개 대학이 선정되었음(09.6월)
ㅇ 김정관 실장은 “우리나라 태양광, 풍력 등의 기술수준이 아직 세계최고수준의 70~80%대 수준에
머물러 있고 핵심부품․소재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뒤떨어져 있는바, 향후 차세대 핵심원천기술의 획득
여부가 앞으로 우리 그린에너지산업 발전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 “원천기술연구센터가 이러한 차세대 핵심기술 확보에 기여하고, 특히 R&D의 중요성은 인식하지만
인력부족으로 인해 기술개발에 애로를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의 전문연구소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ㅇ 이에 대해 9개 원천기술센터의 수행책임자는 향후 센터의 운영목표와 구체적인 연구분야 및 이를 통해
예상되는 성과물 등을 발표하였다.
ㅇ 특히 9개 센터는 산업계가 한단계 도약하기 위해서 시급히 필요한 breakthrough형 핵심원천기술의 획득과
중소기업의 관심분야로서 기술개발결과물을 중소기업에게 적극적으로 기술이전할 수 있는 분야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되, 부수적으로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산업계로 공급하는 역할도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 앞으로 신재생에너지 원천기술연구센터의 역할과 기능이 자리잡게 되면, 차세대 태양전지, 차세대 풍력발전
기술 등 차세대 핵심기술의 확보와 산 학 연간의 연계강화 및 타 산업의 유망한 중소벤처기업의 신재생에너지
산업으로의 진입을 가속화 시켜서 신재생에너지산업의 신성장동력화에 굳건한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ㅇ 또한 지금까지 신재생에너지 源별로 전문화된 R&D기관이 부족하여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제고에 어려움이
많이 있었는데, 원천기술연구센터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에 대한 목마름에 귀중한 단비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ㅇ 그리고 그동안 부족했던 신재생에너지 기술정책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도 깊이 있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