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KISTEP, 대학부문 정부R&D 현황 분석 및 시사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09-06-30
- 등록일 2009-07-15
- 권호
대학부문 정부R&D 현황 분석 및 시사점
● 발간사
Ⅰ. 서 론
Ⅱ. 대학부문 정부 R&D 투자 현황
Ⅲ. 국내 대학 SCIE 논문 수준 및 산학협력 현황
Ⅳ. 2009년도 대학 중점 지원 정부 R&D사업 추진현황
Ⅴ. 향후 대학부문 정부 R&D 투자방향에 관한 시사점
Ⅰ. 서론
글로벌 경제위기 극복과 미래를 위한 정부 R&D 투자의 전략적 확대
● 금융시장에서 촉발된 불안이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치면서 전세계적으로 경기둔화가 확산되고 있음
● 해외 주요국은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일자리 창출과 같은 단기대책뿐만 아니라 R&D 투자 확대를 통한
중장기적인 역량 강화를 추진 중임
● 우리나라 정부도 위기 이후에 대한 준비와 미래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하여 R&D투자 확대를 전략적으로
추진할 계획
※ 정부 R&D 투자 : 10.8조원(’08) → 16.2조원(’12) (1.5배 확대)
지식기반사회의 창의적 R&D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대학의 역할이 매우 중요
● 미래 핵심기술개발, 기초ㆍ원천연구 지원, 세계수준의 연구인력 확보, 개방형 과학기술체제 구축 등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08. 10) 추진을 위해서 대학 R&D 투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객관적 자료를 토대로 대학 R&D 활동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부 투자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
● 그동안 세계적 수준의 대학 육성과 산학협력 활성화 등을 주요 정책목표로 설정하여 다양한 국가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해옴
● 이러한 정책추진에 따라 대학에 대한 정부 R&D 투자비 규모가 상당 수준으로 확대되었음
※ 대학 R&D 투자 : 10,609억 원(’02) → 21,978억 원(’07)
● 향후 지속적으로 대학 부문의 R&D 투자가 확대될 계획임
● 따라서 대학 R&D 투자 현황에 대한 세부분석, 대학 R&D의 역량 분석 등 대학 R&D 활동에 대한 객관적
검토를 통해 정부 R&D의 향후 방향 모색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