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특허청, 국가 R&D 특허성과 정보 한눈에 파악!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특허청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9-08-24
- 등록일 2009-08-24
- 권호
국가 R&D 특허성과 정보 한눈에 파악!
- 특허청, 국가 R&D 특허성과 온라인 서비스 개시 -
□ 앞으로 모든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발생하는 특허성과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 국가 R&D 투자결과 특허출원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나?
주요 선진국 중 어느 나라에 주로 출원하고 있나?
R&D 사업별, R&D 주관부처별 연구개발 투자대비 특허성과는 어떠한가?
국가 R&D로 발생한 특허 중 돈 될만한 특허는 무엇인가?
국가 R&D로 발생한 특허 중 기술이전 하고자 하는 특허는?
- 위와 같이 일반인이 궁금해 할 수 있는 국가 R&D 결과 발생한 특허에 대한 정보를 “누구나 쉽게 언제든지”
파악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가 개시된다.
○ 특허청(청장 고정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 효율성 제고와 양적, 질적 생산성 제고를 도모하고자,
그 출발점으로 국가 차원에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특허성과를 수집·분석 후, 가공된 국가 R&D 특허성과 관련
정보를 웹(Web)상에서 제공하는「국가 R&D 특허성과 종합관리 시스템(이하 R&D-IP*포털, 홈페이지 :
www.RNDIP.or.kr)」을 개통한다고 24일 밝혔다.
* R&D-IP : National R&D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 특허청이 구축한 국가 R&D 특허성과종합관리시스템은 지난 5월부터 「1998년 ~ 2008년까지 발생한
약 12만 4천건의 국가 R&D 특허에 대한 정보를 정비·분석」한 것에 바탕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구축된 R&D
-IP 포털은 ① 국가 R&D 특허성과 검색, ② 국가 R&D 우수특허 및 기술이전 희망특허 등에 관한 정보 제공,
③ 국가 R&D 특허성과 통계 정보 제공, ④ 국가 R&D 특허성과 상시 입력 등을 주요서비스로 제공한다.
○ 먼저, R&D-IP 포털에서는 특허출원번호 등 단순정보 제공에 그치지 않고, 국가 R&D 특허 전문, 특허심사처리
현황, 권리관계 등 특허관련 상세정보를 동 사이트에서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이용자의 편의성을 증진
시켰으며,
○ 국가 R&D 결과 발생한 특허를 대상으로 질적 평가를 실시한 후 돈 될 가능성이 높은 우수특허를 선별함과
동시에 기술이전을 희망하는 특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국가 R&D 특허성과의 사업화, 권리이전 등이 촉진
되도록 하였고,
○ 연도별, 부처별, 연구사업별, 연구주체별로 다양한 국가 R&D 특허성과에 대한 통계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게 하여, 국가 R&D 관련 정책수립이나 R&D 사업 평가 등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또한, 국가 R&D 부처의 연구관리전문기관(예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연구재단), 주관연구기관
(예 : 기업, 대학, 연구소 등 과제수행기관) 등이 국가 R&D 사업 수행단계에서 특허성과가 창출될 때마다 즉시
실시간으로 특허성과를 R&D-IP 포털에 입력토록 하여, 국가 R&D 특허성과가 입력지연으로 신고누락되는 등
의 문제점이 발생치 않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 국가 R&D 특허성과가 체계적으로 정확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 특허청은 “IP(Intellectual Property, 지식재산)의 눈으로 R&D를 보려는(R&D 기획, 평가, 재분석 등)” 주요 기술
선진국들의 최근 움직임에 앞서
○ 지난 2004년부터 국가 R&D 사업의 사업방향 선정, 주요과제 도출 등을 담당하는 연구기획단계에 있어 특허
분석정보를 제공하여 국가 R&D의 길잡이 역할을 하는 “특허동향조사사업”을 수행하여 지경부, 교과부 등
10여개 국가 R&D 주관부처에 제공하고 있으며
○ 특히, 지난해부터는 국가 R&D가 질 높은 특허 즉 “돈되는 강한 특허”를 창출하여 국가 신산업 특히 녹색산업
성장을 촉진하도록 하기 위하여 “지식재산권 중심의 기술획득전략”, “첨단부품소재 IP-R&D 전략 지원사업”,
“표준특허 전략적 창출 지원사업” 등을 중점 추진하고 있다.
□ 특허청 김영민 산업재산정책국장은 “R&D-IP 포털을 국가 R&D 특허정보 종합포털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향후 명품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현재 개발 중인 특허품질 자동평가시스템을 탑재하여 온라인으로
서비스를 실시함과 동시에, 현재 특허청에서 중점추진하고 있는 ‘지식재산권 중심의 기술획득전략’이 성공적
으로 추진되고 있어, 향후 국가 R&D가 신산업 창출에도 적극 기여하고, 국가 R&D의 양적, 질적 생산성 및 투자
대비 효과성도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밝혔다.
문의
산업재산정책국 산업재산정책과 서기관 김주대 (042-481-8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