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KEIT, 우리나라 기술융합의 문제점과 정책적 시사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산업연구원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9-08-26
  • 등록일 2009-08-27
  • 권호



우리나라 기술융합의 문제점과 정책적 시사점
 

   [요  약]
 
ㅇ 경제 회복기에 대비하여 기술융합이 개인의 역량, 사회구조, 국가 시스템 등을 변혁시키는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


 -  기술융합을 단순히 기술혁신의 수단으로 파악하는 기능적 접근에서 벗어나 기술융합에 대한 본원적인 접근을 
    통한 사회·국가적 비전 제시가 필요


ㅇ 기술융합 기반 조성을 위한 국가 발전의 비전 제시를 통하여 중·장기적인 융합 혁신시스템으로의 전환을 
     모색할 필요


 -  융합기술 분야별 발전 로드맵을 작성하고 지원시스템을 구축하되, 연관 산업의 규제시스템 재정립을 위한 
    법제화 추진이 필요


ㅇ 기술융합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관련 기초연구 분야에 대한 연구역량 강화가 급선무


 -  기술융합의 핵심이 되는 기초연구 역량의 강화를 위해 관련 연구개발사업 비중 확대, R&D 전문기업 육성책 
    수립, 우수 연구센터 지원 규모의 확대 및 기초연구 분야에 대한 창의적이고 개방적인 연구지원을 강화


ㅇ 이와 함께 기술융합의 인프라 조성을 위해 산·학·연 간 연구협력 및 융합조직 확대가 긴요


 -  공공연구기관 간 대형 협력프로젝트 추진, 자발적 조직 융합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등 연구개발 주체들 
    간의 기술융합조직 구성의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


 -  기업이 공공연구기관과 공동연구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기술융합 시너지를 제고할 수 있도록 공공연구기관 내 
    개방형 연구실을 운용하고 창업보육 기능을 통합하는 등 기업참여 융합시스템의 업그레이드가 필요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