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지경부, 한-일 로봇기술협력 본격화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지식경제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09-08-27
  • 등록일 2009-08-31
  • 권호

한.일 로봇기술협력 본격화


- 한일 로봇협력 MOU 협정식 및 발표회(8.28(금), KIST 국제협력관) -


□  지식경제부는 국내 로봇기술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해외 R&D 자원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로봇 SW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일간 로봇기술협력을 본격화


ㅇ 로봇 SW플랫폼은 로봇의 동작·기능을 구현하는 응용SW(컴포넌트, 콘텐츠)와 이를 개발하는 개발도구(통합개
     발환경), 로봇의 동작·기능을 통합하고 제어하는 표준화된 구조(프레임워크)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ㅇ 로봇개발자별·로봇제품별로 상이한 응용SW를 상호활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하는 데에 의의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일본총합기술연구소(AIST)는 양국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로봇 응용SW의 
     호환성을 확보하고 더 나아가 로봇 SW의 국제 표준채택 공조를 위하여 로봇 SW협력 양해각서를 체결(8.28
     (금), KIST 국제협력관)


ㅇ 이를 계기로 우리 기업이 타국기업에 비해 경쟁우위에 서서 일본 로봇 SW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
     하고, 일본의 앞선 로봇기술 유입으로 국내 기술경쟁력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


□ 또한, 로봇 SW플랫폼을 빠르게 보급·확산하기 위하여 금번 국제협력을 계기로, 소스코드(베타버전)를 공개


 * 베타버전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를 발표하기 전, 오류 수정 및 소프트웨어 안정화를 목적으로 일반사용자
   에게 공개


ㅇ 로봇 SW플랫폼 기술개발사업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소스코드를 공식사이트(www.opros.or.kr)에 무료로 공개
    하고, 누구나 다운받아 소스코드를 보고, 사용하고, 수정 가능


ㅇ 금번 공개발표는 로봇 SW플랫폼을 보급·확산하기 위한 첫 단계로, 향후 사용자의 피드백을 받아 소프트웨어를 
     안정화하고 라이센스정책 등을 단계적으로 수정·보완해 나갈 계획


□  협정식에 참석하는 지식경제부 허 경 신산업정책관은 ‘연구주체 외부의 기술과 아이디어를 적극 활용하고 내부
     에서 개발된 기술을 전략적으로 공유·이전하여 기술 가치를 제고하는 개방형 기술혁신이 필요함’을 언급하며,


ㅇ ‘로봇 SW플랫폼 사업이 국제협력을 통한 외부기술 습득과 공개정책을 통한 기술이전 및 시장창출의 좋은 선례
      가 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 줄 것’을 당부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