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중기청, 8대 산업 50개 전략제품 117개 중소기업형 유망녹색기술 제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중소기업청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9-09-18
  • 등록일 2009-09-18
  • 권호




□ 중소기업청(청장 홍석우)은 녹색산업 분야의 핵심인 부품 소재 R&D와 생산을 담당할 녹색 전문 중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중소기업형 유망 녹색기술”을 발굴 공표하였다.



◦ 금번 제시한 녹색기술은 그동안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를 비롯한 관련 산․학․연 각계 전문가와의 6개월간의 심층 토의과정을

  거쳐 수립되었으며, 기존 국가전체적인 ‘녹색기술로드맵’을 토대로 중소기업 입장에서 단기 상용화 가능성 등을 위주로 전략적 육성 필요성이

  큰 8개 산업분야, 50개 전략제품, 117개 유망녹색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 금번 ‘유망녹색기술’ 발굴은 중소기업 녹색성장 확산전략의 핵심인 핵심기술력을 보유한 녹색산업분야 전문 중소기업 발굴 육성을 위한

    중장기 R&D 지원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 특히, 국내 녹색산업을 성장동력화 하려면, 녹색제품의 기술경쟁력을 뒷받침하는 핵심 부품․소재의 수입을 대체할 국산기술의 육성이 

  필수인데, 이를 담당할 녹색 중소기업은 여건이 취약한 것이 현실이다.



* 녹색분야 유망 중소기업수 : 이노비즈 1.4만개의 0.8%(128개) 수준

* 녹색산업분야 중소기업 설문조사 결과 선진국 경쟁기업보다 기술우위라는 응답은 12% 불과(기은경제연구소, ‘09.8)

* 환경산업도 영세기업 중심 : 매출 5억원 미만 50.5%, 종사자 5인 미만 42.1%(환경부, ’08.5)

◦ 따라서, 금번 분야별 유망 녹색기술 정보는 중소기업들의 녹색기술 이해도와 전략적 녹색기술 기획력을 향상시켜 녹색 고부가가치 유망기술 

  개발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 특히, 태양광 풍력 산업의 경우 녹색산업의 핵심인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대표적인 분야임에도 불구, 핵심 부품․소재의 수입의존도가 크고

  중소기업의 참여가 미약하였으나, 동「중소기업형 유망 녹색기술」을 토대로 핵심기술력을 보유한 기술집약형 중소기업 육성 및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태양광 모듈 국내시장 점유율(’08) : 국산 33%, 외산 67% (야노경제연구소, ‘09.9)

* 국내 풍력보급시장에서 국산제품의 보급비중 : 0.6% (신재생에너지센터, ’08.12)



□「중소기업형 유망 녹색기술」은 R&D 투자규모, 연구개발단계, 요소기술 여부, 사업화 가능성 등에 있어서 중소기업의 특성을 고려하고, 

       타 부처 연구기관 전문기업 등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발굴하였으며,



◦ 이번에 발굴된 ▲태양광발전 ▲풍력발전 ▲바이오에너지 ▲차세대조명(LED) ▲히트펌프 ▲그린IT ▲폐기물에너지화 ▲폐기물자원화의 8개

  분야를 중심으로 50개 전략제품, 117개 유망녹색기술은 녹색기술 관련 선도과제를 도출하는 데 활용된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