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STEPI, 미국 보스턴에서 얻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시사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9-10-08
  • 등록일 2009-10-08
  • 권호
미국 보스턴에서 얻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시사점



[개요]



□ 현재 추진 중인 과학비즈니스벨트는 과학기술계의 대표적인 대통령 공약

사항으로 해외 성공사례 벤치마킹을 통해 실효성 있게 추진될 필요가

있음



○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금년 초(2009.1) 약 3조 5천 억원 규모의 막대한

정부예산이 투자되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종합계획안 확정



○ 성공적인 과학도시 보스턴(Boston)에 대한 벤치마킹은 국제과학비즈니스

벨트 미래 발전 로드맵 및 청사진 도출에 유용한 정보 제공



□ 과학도시 보스턴의 강점



○ 하버드, MIT 등 뛰어난 연구역량을 갖춘 대학들을 중심으로 의료, 교육,

연구개발 등의 영역에서 세계적인 연구개발 경쟁력 확보

- 보스턴은 1990년대 중반 이후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의료 및 제약

관련 연구비 수혜를 가장 많이 받는 도시



○ 끊임없이 진화하는 보스턴의 혁신역량

- 보스턴 인구의 57%가 35세 미만의 젊은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석사

학위 이상 학위 보유자 비중은 인구의 약 15% 수준에 이름

- 외부환경 및 수요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수평적이고 개방적인

공동의 집단학습과정(collective learning process)을 발전시켜 온 것이

과학도시 보스턴의 차별화된 강점



○ 하버드와 MIT 등 우수한 교육 및 연구기관, Xerox, 3M, Kodak, BASF 등

세계적인 다국적기업, 적극적이고 풍부한 벤처캐피탈 등이 정보와 인력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해 시너지 창출

- 우수한 교육환경, 자유롭고 창의적인 연구문화, 창조 주도형 지식집단

(leading edge community group) 등이 글로벌 인재를 보스턴으로 유인

하고 있음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는 기초과학연구원 등의

연구기관, 기업, 대학, 정부가 긴밀한 공조를 통해 원천기술 확보, 우수

인력 양성, 첨단 과학기반산업 육성을 가능케 하는 과학비즈니스 생태

계를 지향해야 함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