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중기청, 2010년도 예산 보도자료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중소기업청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09-10-12
  • 등록일 2009-10-12
  • 권호



 □ 내년도 중소기업지원을 위한 정부예산안이 금년보다 △23.7% 감소된 5조 9,752억원으로 편성되었으나



ㅇ 경제위기 극복과정에서 한시적으로 대폭 증가되었던 신용보증 및 정책자금을 제외한 실질적인 중소기업지원 예산은

‘09본예산 대비 18.5% 증가한 2조 4,906억원으로 편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억원)
































































구 분 ‘09예산 ‘10예산안(B) 증 감
본예산(A) 추경 (B-A) %
총지출(C+D)주』 78,309 119,305 59,752 △18,557 △23.7
(금융지원 제외시) (21,023) (24,018) (24,906) (3,883) (18.5)
◦ 예 산(C) 26,639 48,911 16,805 △9,834 △36.9
(금융지원 제외시) (11,907) (12,179) (13,313) (1,405) (11.8)
◦ 중진기금(D) 51,671 70,394 42,948 △8,723 △16.9
(정책자금) (42,555) (58,555) (31,355) (△11,200) (△26.3)





□ 신용보증 및 정책자금이 감액된 것은 최근 금융시장 정상화에 따른 시중 유동성 회복을 반영한 것으로 이해된다.



ㅇ 최근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중기대출액이 증가하는 등 시중의 중소기업 자금사정도 다소 개선되고 있어,

‘09추경대비 정부예산의 축소는 불가피한 실정이다.



* 중기대출액(조원) : (‘09.1) 2.6 → (2) 3.4 → (5) 3.2 → (8) 3.6



* 중기 자금조달사정(실적) : (‘09.1) 56.7 → (4) 72.8 → (6) 77.9 → (8) 78.6



ㅇ 다만, 중소기업 금융지원예산은 줄이더라도 중소기업이 실제 지원받는 정책금융 규모는 예년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기금내 여유재원을 활용하는 등 보완장치를 강구하였다.



□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소기업의 긴급 유동성 지원을 위해 확대되었던 신용보증지원 규모는 66.1조원으로 금년(67.4조원)보다

1.3조원 감소되었으나, 이는 금융위기 이전인 ‘07년보다 대폭 확대된 규모이며,



ㅇ 특히, 소상공인 등 영세자영업자 지원을 위한 지역신용의 보증지원 규모는 확대(‘09년 11.9조원 → ’10년 12.6조원)키로 하였음.



* 신용보증규모(잔액기준, 조원) : (’07) 44.4 →(’08) 49 →(’09) 67.4 →(‘10) 66.1



ㅇ ‘09년 추경(1.6조원)에 반영된 신용보증기관의 사고율이 당초 예상보다 낮아, 크게 확충된 현재의 기본재산으로도 ’10년 보증운용

여력이 충분



* 신용보증 출연 : (’07) 2,700억원 →(’09당초) 1.1조원→(’09추경) 2.7조원→(’10) 0원



* 기본재산 : 신보 (’08) 2.6조원 →(‘09말전망) 4.2조원 (61.5%↑)



기보 (’08) 1.7조원 →(‘09말전망) 2.3조원 (35.3%↑)



* 사 고 율 : 신보 (’08) 5.0% → (‘09당초전망) 9.6%→ (‘09.8실적) 4.6%



기보 (’08) 6.1% → (‘09당초전망) 11.0%→ (‘09.8실적) 4.7%



□ 정책자금 규모는 3.1조원으로 금년(5.8조원)보다 2.7조원 감소되었으나, 이는 금융위기에 대응하여 대폭 확대된 운전자금

(경영안정자금, 소상공인자금)이 축소된데 기인하며



* 경영안정자금 : (’08) 3,113억원 → (‘09) 15,000억원 → (‘10) 2,500억원



* 소상공인자금 : (’08) 2,400억원 → (‘09) 11,000억원 → (‘10) 3,000억원



ㅇ IMF 금융위기 당시에도 정책자금이 확대되었으나, 금융위기극복이후에는 그전 수준으로 반영된 사례가 있고



* 정책자금 : (’97) 1.7조원 → (‘98) 2.2조원 → (‘99) 3.0조원→ (‘00) 2.2조원



<최근 5년간 중소기업 정책자금 규모>
























구분 ‘04 ‘05 ‘06 ‘07 ‘08 평균
정책자금 3.4 3.6 3.2 3.1 3.2 3.3



ㅇ내년도 정책자금은 운전자금을 대폭 축소한 반면, 중소기업 창업 및 개발기술사업화 등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자금은 확대



* 창업자금 : (’08) 6,400억원 → (‘09당초) 1.0조원 → (‘’09추경) 1.1조원→ (‘10) 1.1조원



* 개발기술사업화 : (’08) 1,200억원 → (‘09당초) 1,580억원 → (‘’09추경) 1,880억원→ (‘10) 1,580억원



□ 그밖에 ‘10년도 증액된 중소기업 지원 일반예산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기업형 수퍼마켓(SSM) 등에 대응한 서민생활안정을 위해 전년대비 9.1%(214억원) 증액된 2,581억원으로 편성하였다.



ㅇ 전통시장 시설현대화(1,752 → 1,597억원) 지원사업은 지방자치단체의 자율편성에 따라 일부 축소 되었으나, 이는 실집행

제고를 위한 수요단계별 예산요구에 기인하며



□ 재래시장 및 상점가 시설현대화사업 운영 지침⌟ 11조 제9항 : 자금의 수요단계별 예산 분할편성(‘09.2월 개정)



ㅇ 지역문화와 주변 관광자원을 연계한 특성화전통시장 육성 등 시장경영혁신(287→365억원), 소상공인 교육, 공동마케팅,

케이블 TV 홍보 등을 통한 소상공인 경쟁력 제고사업(193 → 311억원)을 증액 반영하고



ㅇ 특히, SSM에 대응하여 소매점포가 가격, 위생, 서비스 등에서 경쟁우위를 가진 스마트샵 육성사업(1,110억원)을 신규로 반영하였다.



* 스마트샵 표준모델 개발 및 컨설팅 110억원, 스마트샵 육성자금 1,000억원



미래성장동력 발굴 육성 등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14.4%(707억원) 증액된 5,607억원의 R&D 예산을 편성하였다.



ㅇ 중소기업의 현장기술혁신 역량강화를 위한 기술혁신개발(2,620→2,797억원), 개발제품의 구매까지 연계하는 구매조건부 기술개발 등 상용화 기술개발(650→750억원)과



ㅇ 대학ㆍ연구소와의 협력을 통해 중소기업의 혁신능력을 배양하는 산학연 공동기술개발(977→1,097억원), 첨단연구장비 활용(76→326억원)을 확대하였고



ㅇ 중소기업의 에너지 저감 공정개발 등 제조공정 녹색화를 위한 제조현장 녹색화 기술개발(247 → 327억원) 등을 확대 편성하였다.



창업촉진을 통한 일자리 창출 위해 27.2%(559억원) 증액된 2,613억원의 창업지원 예산을 편성하였다.



ㅇ 체계적인 창업 보육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소기업 창업보육센터를 확충(286→324억원)하고,



* 창업보육센터 3개 신축, 15개 확장(현재 282개)



ㅇ 비수도권 제조업의 창업촉진을 위한 창업기업투자보조금(600→1,000억원)을 대폭 확대하는 한편



ㅇ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신규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아이디어 상업화 지원(250→300억원) 및 예비기술창업자 육성사업(460→ 494억원)을 확대 편성하였다.



앞서 언급한 대로 글로벌 위기과정에서 일시 증액된 금융예산은 위기이전 수준으로 정상화 하였다.



ㅇ 경기회복 전망을 감안하여 정책자금 규모는 3.1조원으로 예년 수준을 유지하고



* 정책자금규모 : (5년평균) 3.2조원 → (‘09추경) 5.9조원 → (’10) 3.1조원



ㅇ 금융시장 안정화에 따른 ‘10년 보증공급 규모 역시 단계적으로 정상화 할 예정이다.



* 보증공급 규모 : (‘09계획) 67.4조원 → (’10안) 66.1조원



□ 중소기업청은 이번 예산안이 국회에서 심의·확정 되는대로 ‘10년도 사업계획에 이를 반영하여 각종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차질없이 수행하도록 철저히 준비해 나갈 계획이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