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KIET,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실태 및 역량 평가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산업연구원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9-11-12
  • 등록일 2009-11-13
  • 권호

○ 혁신활동 수행 중소기업 1,021개사를 대상으로 혁신체계성, 혁신경험, 혁신수준, 혁신성과 등 4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혁신역량을 평가하고, 군집분석을 통해 상위 -중위 - 하위 등 3개 집단으로 구분 


○ 평가 결과, 하위집단의 혁신역량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가운데, 혁신영역별로는 혁신체계성과 혁신수준 영역에 비해 혁신경험과 혁신성과 영역의 혁신역량이 상대적으로 미흡하며, 집단 간 격차도 큰 실정 


  - 혁신체계성은 '기술 장비의 보유 관리', '기술개발인력 관리' 측면의 역량이 상대적으로 미흡하며, 혁신수준에서는 제품화능력은 양호한 반면 연구개발투자비율, 기술혁신의 신규성은 미흡  


  - 특히 혁신역량이 낮게 나타난 혁신경험의 경우 외부기관과의 협력 등 질적 측면의 역량이 부족하며,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노력이 혁신성과로 연결되는 정도가 매우 미흡하여 성과 측면의 역량도 낮은 실정


○ 또한 기술혁신 역량별 혁신활동의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역량 수준에 따라 기업 속성, 혁신활동의 내용, 정책수요 등에서 적지 않은 차이를 노정


  - 혁신역량이 높은 기업은 대기업과의 거래나 해외거래가 활발하며, 기술혁신 투자에 적극적이고 정책 활용도와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 


  - 반면, 혁신역량이 낮은 기업은 국내 중소기업 간 거래가 많고, 기술혁신 투자에 소극적이며, 정책 활용도와 만족도가 낮은 경향 


○ 이에 따라 정책 추진시 혁신경험과 혁신성과 측면이 보다 강조될 필요가 있으며, 정책 초점을 혁신구조와 내용의 질적 고도화에 맞추고 정책의 목적성과 전략성을 명확하고 충실하게 반영할 필요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