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환경부, OECD 나노 안전성사업, 국내 생산 은나노물질 선정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환경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9-12-18
  • 등록일 2009-12-18
  • 권호

◇ 우리나라는 미국과 공동으로 OECD 은나노 안전성시험 지원사업 총괄 (경제적 가치 30억


    원 이를 전망)


◇ 유럽연합(EU), 미국 등 나노물질 규제 움직임에 대응, 국내 기업 보호에 활용

 


□ 국립환경과학원은 제6차 OECD 제조나노물질 작업반회의에서 은나노 안전성시험 지원사업


   대상 물질로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은나노 물질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 OECD 은나노 안전성시험 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시발점으로서 안전성 자료


     생산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OECD 제조나노물질 작업반 focal point로서, OECD 나


        노 안전성사업 추진을 위한 주무부서로서의 효율적 이행을 위해 산·학·연·관 전문


        가로 구성된 「나노 위해성 전문가 협의체」를 운영 중임




□ 이는 OECD 회원국의 합의하에 선정된 14개 대표 제조나노물질과 59개 우선 시험 항목에 대한


   지원사업 가동에 따른 후속 조치로서 결정된 것이다. 


 ○ 우리나라는 은나노 등 5개 물질을 회원국과 함께 지원하고 있으며,


    ※ 은나노, 다층벽탄소나노튜브, 이산화티타늄, 이산화규소, 폴리스티렌


 ○ 특히, 미국과 공동으로 향후 항균소재 개발 등 응용 가능성을 주목받고 있는 은나노에 대한 안


     전성시험 지원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 사업 수행을 위해 회원국은 물질 조건에 부합되는 국내 생산 나노물질 1종과 미국 생산 3종 물


     질을 선정하는데 합의하였다.

 










































시료 #



평균 지름



Capping Agent



물질 성상



기업(생산국)



1



10 nm ~ 15 nm



citrate 



콜로이드



(주)ABC나노텍(한국)



2



10 nm ~ 20 nm



PVP 



건조된 형태



NanoComposix(미국)



3



50 nm ~ 100 nm



citrate 



콜로이드



NanoComposix(미국)



4



50 nm ~ 100 nm



PVP



건조된 형태



NanoComposix(미국)



□ 이번 결정은 우리나라에서 제조되는 은나노 물질에 대해 국제적으로 합의된 안전성 자료

   를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 선정된 물질에 대해서 회원국이 분담하여 안전성 자료를 생산할 예정이며, 이에 대한 경제적


     가치는 약 3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 더불어 국제적으로 승인된 자료의 축적을 바탕으로 국내 기업에서 생산하는 은나노 물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함으로써 이를 통한 시장개척도 기대된다.


 ○ 또한, 유럽연합, 미국 등 선진국은 제조나노물질 관련 규제 마련을 검토 중이므로 국제 규제

     로부터 국내 기업을 보호하는 대응자료로도 활용될 전망이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