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중기청, 산학연 기술개발사업, 기업중심으로 가야 성과 높아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중소기업청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9-12-18
- 등록일 2009-12-18
- 권호
□ 중소기업청(청장 홍석우)은 2001년부터 2007년까지 산학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수행한 업체의 추적성과 평가결과, 산학 기술개발사업이 대학이 제안한 과제보다는 기업이 제안한 과제가 성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이는 그간 정부가 추진해 온 신 산학협력 정책과 맥락을 같이 한 것이어서 주목 된다.
< 종래 산학협력 vs. 新 산학협력 >
구 분 |
기존의 산학협력 |
新 산학협력 |
기본개념 |
공급자(대학) 중심 |
수요자(기업) 중심 |
목 적 |
순수 R&D중심 |
실용화/상품화 R&BD중심 |
교 육 |
이론/연구중심 |
현장/실습중심 |
평 가 |
SCI 등 논문실적 중심 |
특허, 기술이전 및 사업화실적 중심 |
□ 중소기업청은 ‘93년부터 기술력이 취약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능력 제고를 위해 ’산학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수행해 왔으나, 과거 8년 전부터 2년 전까지 지원한 업체에 대한 추적 성과평가는 이번이 처음이다.
+ 금년도에는 시범적으로 대전지역 지원업체 729개 업체를 대상(응답기업 300개)으로 평가*하였으며, 내년 상반기에는 서울, 경북, 전북지역에 대해 추가로 추적성과 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
* 용역 수행기관 : (사)한국산학연협회 대전지역협의회
□ 대전지역 지원업체에 대한 분석 결과,
+ R&D 투자액 대비 현재까지 매출액 공헌효과는 7.1배, 개발기술의 수명주기는 6.3년, 기술수명주기 동안 예상되는 매출액 공헌효과는 R&D투자금액의 20.5배로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참여 전후의 해당제품 년간 매출액 추이 >
구 분 |
연구과제 참여 |
연구과제 참여 |
연구과제 참여 |
연구과제 참여 |
해당제품 매출액 |
167백만원 |
251백만원 |
345백만원 |
567백만원 |
과제참여전 대비증가율 |
|
50% |
107% |
240% |
+ 또한, 참여연구원을 채용한 기업은 29.7%, 업체별 평균 채용인원은 0.6명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채용인력을 포함할 경우 업체당 평균 1.6명을 채용하여 고용증대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업체별 평균참여연구원채용인원 = 170명(총채용인원)/300개사(응답수) = 0.57명
* 업체별 평균채용인원 = 465명(총채용인원)/300개사(응답수) = 1.55명
□ 특히 주목할 것은 사업을 제안한 자가 교수 단독이 아닌, 기업단독 또는 기업․교수가 공동 제안한 것이 사업성과가 훨씬 높게 나타났다.
+ 개발기술이 매출에 기여한 효과는 교수단독일 경우 64.0%, 기업단독 71.2%, 기업․교수 공동이 74.4%로 나타났으며, 투자대비 매출증대효과는 기업단독이 6.4배로 가장 높았다.
< 사업제안자에 따른 개발기술의 제성과 비교 >
구 분 |
교 수 |
기 업 |
교수&기업 |
매출기여 |
64% |
71.2% |
74.4% |
투자대비 매출증대효과(현재) |
3.5배 |
6.4배 |
5.6배 |
기술수명주기 전기간의 매출액 증대효과 |
9.0배 |
16.1배 |
22.4배 |
+ 또한, 대학과 기술개발을 하는 이유는 과거에는 ‘교수와 친분관계 때문’이 가장 많았으나, 최근에는 ‘교수의 뛰어난 연구능력’과 ‘과거의 기술지원 및 협력관계 때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산학 기술개발사업 참여 사유 >
*첨부파일 참조(그림)
+ 이는 산학기술개발이 대학중심에서 기업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으며, 기업중심의 공동기술개발 성과도 높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 중소기업청에서는 이러한 사실에 주목하여 ‘산학 공동기술개발사업’ 추진방식을 내년도에는 기업중심으로 전면 개편할 계획s이다.
+ 안병수 중소기업청 산학협력과장은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선정한 후, 협력할 대학을 기업이 직접 평가하여 선정하는 방식을 내년도에 도입하여 산학사업을 기업주도형으로 바꿔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