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NRF, 교과부, 연구재단『2008 대학산학협력백서』(2009년 판) 발간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연구재단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9-12-21
  • 등록일 2009-12-23
  • 권호

- 대학․기업 간 기술이전 및 산학협력 성과 크게 늘어,


 


 한해 기술이전 수입 270억원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 이하 교과부)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박찬모, 이하 재단)은 국내 149개 대학의 2008년도 산학협력 현황 및 성과를 집대성한『2008 대학산학협력백서』(2009년 판)를 12월 21일 발간한다. 


□ 이번『2008 대학산학협력백서』는 전체 417개 대학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학 산학협력활동 실태조사’의 결과를 성균관대학교 이영관 산학협력단장 외 10여 명의 전문가 검토를 거쳐 정리한 것으로써,


 ○ 149개 4년제 종합대학의 ▴ 산학협력단 운영 현황 ▴ 특허 등의 지식재산보유 및 관리 현황 ▴ 기술이전 사업화 성과 등이 망라되어 있으며, ▴ 영국, 싱가포르, 네덜란드 등의 해외 산학협력 사례 ▴ 대학 우수 연구 성과의 해외특허권 확보 전략과 같은 2008년 산학협력의 주요이슈에 대한 전문가 기고가 함께 실려 있다.  


□ 백서에 수록된 2008년 국내 대학의 산학협력 주요 성과를 살펴보면,


 ○ 2008년 한 해 동안 149개 대학이 기업과 체결한 기술이전 계약은 총 1,221건이고 기술이전에 따른 수입료는 27,752백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대비 각각 28.4%, 69.1% 증가한 것이다. 특히, 계약 체결 건수에 비해 수입료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대학에서 산출되는 기술의 산업적 가치가 크게 제고됨으로써, 기업이 대학의 기술력을 인정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 이와 함께, R&D 투자대비 회수율(과학기술분야 연구비/기술이전 수입료)이 2007년 0.582% 비해 크게 개선된 0.933%로 집계되었다. 이는 정부 R&D 투자의 효율성이 개선되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나타내주고 있다. 


 ○ 기술유형별로는, 특허가 579건으로 전체 기술이전의 47.4%를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 노하우 537건(44%), 소프트웨어 39건(3.2%), 디자인 12건(1.0%), 실용신안 7건(0.6%), 상표 5건(0.4%) 순이었다.


 ○ 기술분야(6T)별로는, IT분야가 450건으로 전체의 36.9%를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 BT 289건(24.4%), NT 113건(9.3%), ET 75건(6.1%), CT 24건(2%), 17건 ST(1.3%) 순으로 나타났다.


 ○ 국내 대학의 특허 출원 및 등록 성과를 살펴보면, 특허출원은 총 9,142건으로 전년대비 24.8% 증가함으로써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허등록은 총 3,801건으로 전년대비 6.2%가 감소하였으나, 이는 특허등록에 대한 특허청의 심사기준이 강화된 것에 따른 것으로써 대학 부문만의 특별한 현상은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


 ○ 해외특허의 경우, 출원 및 등록 모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해외 출원은 총 1,061건으로 전년대비 34.8% 증가, 해외 등록은 241건으로 전년대비 13.1% 증가했다.


□ 이와 함께『2008 대학산학협력백서』에서는, 2006년 백서 발간 후 최초로 115개 전문대학에 대한 산학협력 현황 자료를 부록으로 제시하여, 국내 대학 전체가 활발한 산학협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박찬모 한국연구재단 이사장은 발간사에서, “산학협력은 대학의 발전이 사회의 발전으로 이어지기 바라는 시대적 요구이며, 동시에 대학의 사회적 기여가 확대됨으로써 국내 대학의 위상도 한층 더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2008 대학산학협력백서』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를 통해 전자북 형태로 열람할 수 있으며, 한국연구재단 산학협력사업팀(042-869-6411)으로 요청하면 백서 본문, 핸드북(요약본), 전자북 CD를 받아볼 수 있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