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우리나라 과학기술혁신역량은 세계 12위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09-12-23
  • 등록일 2009-12-24
  • 권호

- 교과부, 2009 OECD 30개국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결과 발표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안병만)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원장 이준승)은 2009년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 평가 결과, 우리나라의 과학기술혁신역량이 OECD 30개국 중 12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o 정부는 우리나라의 과학기술혁신역량을 종합적으로 진단?평가하기 위하여 2006년부터 과학기술혁신역량 평가를 매년 실시하여 왔다. 이 평가는 과학기술혁신역량을 5개 부문(자원, 환경, 네트워크, 활동, 성과), 31개 지표로 나누고 OECD 30개국을 비교하여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COSTII*)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COSTII : COmposite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Index


    ( 舊과학기술부가 개발한 평가모델로서 과학기술 분야를 보다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정성적 지표와 정량적 지표로 구성되어 있음 )




□ 2009년도 주요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o우리나라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COSTII)는 11.28점(31점 만점)으로 OECD 전체 국가 평균인 9.64점보다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o 금년도 우리나라 COSTII 순위는 12위로 ‘08년, ’07년과 동일한 수준이나, COSTII 1위 국가(미국)를 100으로 한 상대수준은 매년 상승(‘07년 52.9%, ’08년 53.5%, ’09년 57.5%)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부문별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o 우리나라는 활동부문(GDP 대비 연구개발투자총액 비율, 산업부가가치 대비 기업연구개발투자비율 등)이 5위로 강점인 반면,




 o 네트워크부문(국제협력, 기업간 협력 등)은 16위로 상대적인 역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COSTII 5개 부문별 결과 ▶
























































































































부문



배점



한 국



상대수준*(%)



최고국



'09년



'08년



'07년



'06년



우리나라



OECD 평균



점수



순위



점수



순위



점수



순위



점수



순위



자원



7



1.22 



12



1.03



12



0.89



14



0.86



15



20.27 



20.52



미국



활동



7



3.93 



5



4.07



3



3.74



4



3.94



4



77.29 



51.24



미국



네트워크



5



1.34 



16



1.31



22



1.43



19



1.27



23



48.97 



48.23



룩셈부르크



환경



6



2.91 



13



3.03



18



3.13



16



3.11



12



75.10 



69.19



프랑스



성과



6



1.88 



13



1.81



9



1.77



9



1.41



18



42.20 



40.42 



미국





31



11.28



12



11.24



12



10.96



12



10.59



12



57.48 



49.14 



 




* 1위 국가의 수치를 100으로 할 경우, 우리나라의 수준




o 자원부문을 구체적으로 보면, 인적자원의 경우 총 연구원 수가 상위권(4위)을 유지하고 있으나, 질적 지표인 박사급 고급 인적자원은 낮은 수준(20위)을 보였다. 




 o 활동부문은 GDP 대비 연구개발투자 총액 비율?산업부가가치 대비 기업연구개발투자비율 등 연구개발투자항목(5위)은 상승하였으나, GDP대비 벤처캐피탈 투자금액 비율 등 창업활동항목(14위)의 순위가 낮아 전체 5위로 2단계 낮아졌다.




 o 네트워크부문은 순위가 오르고 있으나(22위 → 16위)가장 취약한 부문으로 기업간 협력(19위), 국제협력(22위)에 보다 많은 노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o 환경부문은 물적인프라는 높은 수준(2위)인 반면, 문화(26위)?지원제도(22위)등 과학기술을 지원하는 사회 인프라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o 성과부문은 연간 연구개발투자 대비 특허성과가 상위권 수준(4위)이나, 연구원 1인당 SCI 논문수 및 피인용도는 낮은 수준(29위)으로 나타났다.




□ 이번 과학기술역량 평가 결과,




 o 연구개발 투자, 연구인력, 특허?논문 등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양적인 성과목표와 관련된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는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과학기술역량을 구성하는 일부 부문의 역량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성과 창출?확산의 기반인 환경 및 네트워크부문 강화가 필요하며,


o 중장기적으로 부문간 불균형 완화 및 수월성 강화를 통한 R&D 질적 고도화와 더불어 제도개선 및 인식변화 등을 전략적으로 추진해야함을 보여주고 있다. 


□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은 국가과학기술위원회(운영위원회)에 보고(‘09.12.23)된 금번 평가 결과를 기초로 심층적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실천과제를 ’10년 2월까지 도출할 예정이다.




< 자료문의 > ☎ 02-2100-6684, 과학기술기반과장 장보현, 사무관 김정한

             ☎ 02-589-2933,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조사분석실장 오세홍, 연구원 주혜정




※ 자세한 내용은 붙임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