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STEPI, 서비스 수출을 위한 서비스 R&D 정책 방향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09-12-16
  • 등록일 2009-12-24
  • 권호
 <개 요>



□ 제조업에 집중된 한국의 수출

○ 한국은 ‘09년 세계 수출순위 9위, 수출시장 점유율 3%대 진입 전망

이나 대부분 제조업에 의해 주도되고 있음



○ 확대되는 서비스 수지 적자

- ‘09년 3분기까지 상품수지는 400억 달러 흑자를 보인 반면, 같은

분기의 서비스 수지는 100억 달러 이상의 적자를 보임



□ 서비스 수출 부진의 원인

○ 한국은 ‘하드웨어(HW) 제품’만 있고 ‘서비스’는 없는 구조적 취약

점을 가지고 있음



○ 제조업과 서비스의 융합으로 새로운 형태의 수출 모델 부상



○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無形)의 ‘서비스’를 ‘공짜’ 또는 ‘거저’로

인식,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체계적인 혁신 및 R&D 활동이 부족



○ 세계 최초 혁신적 서비스를 국내 일부 기업이 연구개발하고도 ‘글로벌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하지 못해 서비스 수출에 실패



□ 독일의 서비스 수출을 위한 서비스 R&D 사업

○ 독일 정부는 서비스 수출을 위한 서비스 R&D 사업을 시행 중

- ‘06년 한 해 동안, 서비스 수출과 국제화 영역에서 65개 프로젝트

에서 476억 원(2천 8백만 유로)을 지원



○ 독일의 서비스 R&D는 서비스 수출을 위한 인문ㆍ사회 과학적

연구까지 포괄적으로 지원



○ 서비스 수출과 관련해 3개 부문 6개 세부 분야로 구분해 지원



□ 서비스 수출을 위한 서비스 R&D 정책 방향

○ 서비스 수출을 위한 서비스 R&D 국가 연구개발 사업 시행



○ 서비스 R&D를 통한 한국형 공적개발원조(ODA) 서비스수출 모델 개발



○ 서비스 R&D를 통한 “글로벌 서비스 개발‘과 “글로벌 서비스 플레이어”

육성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