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교육과학기술부 주요 연구개발사업 성과 분석결과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09-12-28
- 등록일 2009-12-29
- 권호
- 국가 전체 NSC 논문의 68.0%, 피인용 상위 1%저널 논문의 73.7% 차지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박찬모)은 교과부 7대 주요 연구개발(R&D)사업*들을 통해 지원된 총 51,015과제(’08년 계속지원과제 13,604건 + 연구종료 후 5년이내 과제 37,411건)들의 2008년도 연구성과를 종합 분석한 「2009년도 교과부 주요 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보고서」를 발간하였다.
* ①기초과학연구사업, ②학술연구조성사업, ③미래원천기술개발사업, ④원자력연구개발사업, ⑤우주개발사업, ⑥핵융합연구개발사업, ⑦과학기술국제화사업 등 7개분야 사업
□ (종합 성과) 동 성과분석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교과부 7대 주요R&D사업의 연구 성과는 SCI 논문 16,746건(9,486건), 특허출원 4,305건(2,915건), 특허등록 1,794건(1,136건) 등으로 R&D투자가 확대됨에 따라 연구성과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는 기여율(하나의 성과가 두개 이상의 과제 수행으로 산출된 경우, 한 성과에 대한 각 과제의 기여한 정도로서 합을 100% 이내로함)을 고려한 성과
<2008년 주요 교과부 R&D사업 투입/산출성과>
구 분 |
2006 |
2007 |
2008 |
||
투 입 성 과 |
교과부 총 R&D예산(억원) |
31,363주1) |
33,783주1) |
35,240 |
|
교과부 주요 R&D사업예산(억원) |
12,939 |
13,547 |
14,839 |
||
산 출 성 과 |
논문주2) |
SCI 등재학술지 |
12,589 |
14,444 |
16,746 |
전체 학술지(SCI + 비SCI) |
19,402 |
22,379 |
23,084 |
||
특허 |
출원 |
2,277 |
3,039 |
3,336 |
|
등록 |
1,786 |
1,915 |
1,618주2) |
주1) 구 과기부와 구 교육인적자원부 R&D예산의 단순 합계
주2) 기여율을 고려하지 않은 단순 논문수
주3) 특허청의 심사강화에 따라 ’06년대비 ’08년도의 내국인 국내특허 총 등록수는 32.4%감소되었음(’06년 89,131건 → ’08년 60,233건)
□ (논문의 질적 수준) 2008년도 국가 총 R&D(34조 4,981억원)의 4.3%에 불과한 교과부 7대 R&D 사업을 통해 논문은 국가 전체 NSC(Nature, Science, Cell誌) 논문의 68.0%(17편), 피인용 상위 1%저널 논문의 73.7%(690편), 고피인용(피인용 상위 1%) 논문의 45.9%(61편) 등으로 교과부 R&D사업은 우리나라 SCI 논문의 양적·질적 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8년 교과부 7대 주요 R&D사업의 질적수준>
구 분 |
국가 전체(a) |
교과부 7대 주요 R&D 사업(b) |
기여도(b/a) |
SCI 논문 수 |
35,569편 |
9,486편 |
26.7% |
NSC 논문 수 |
25편 |
17편 |
68.0% |
피인용 상위저널 논문수 |
936편 |
690편 |
73.7% |
고피인용 논문 수 |
133편 |
61편 |
45.9% |
○ 또한 SCI논문의 평균IF(Impact Factor, 영향력지수)는 2.94로, 우리나라 전체 SCI논문의 평균IF(2.32)보다 1.27배 높으며, IF가 20이상인 논문은 총 35편으로, 국가 전체(58편)의 60.3%를 점유하여 질적 수준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2008년 교과부 7대 주요 R&D사업의 영향력지수>
구 분 |
평균IF |
IF≥20 |
분야대비 영향력지수 |
표준화된 순위보정 영향력지수 (0-100) |
보완된 순위보정 영향력지수 (1-5사이정수) |
국가전체 |
2.32 |
58 |
0.95 |
59.60 |
3.46 |
연구활동 사업 |
3.25 |
57 |
1.17 |
67.28 |
3.83 |
연구인프라 사업 |
3.17 |
7 |
1.22 |
68.99 |
3.93 |
주요R&D 합계 |
3.24 |
64 |
1.18 |
67.47 |
3.84 |
주요R&D합계 (중복배제) |
2.94 |
35 |
1.11 |
65.52 |
3.74 |
주) 1. 중복배제란 사업(과제)간 중복실적으로 확인된 논문을 1건으로 처리하여 산출한 통계를 의미함.
2. 논문 유형 중 article과 review만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함.
○ 특히 교과부 기초·원천연구사업*을 통해 2008년에 산출된 SCI논문은 6,951편이며, 연구비 10억원당 SCI 논문수는 10.83편으로 국가 전체(1.03편)보다 10.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ㆍ 또한 기초원천연구사업의 SCI논문 평균 IF는 3.04로 국가 전체 대비 1.31배이며, IF가 20이상인 논문은 28편으로, 국가 전체(58편)의 48.3%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기초과학연구사업, 미래원천기술개발사업, 학술조성사업(이공분야)의 순수 연구사업으로, ‘08년 연구비는 6,951억임(’08년 국가 총 연구개발비 : 344,981억원)
<2008년 교과부 기초·원천 부문 연구사업의 영향력지수>
구분 |
평균 IF |
IF≥20 논문수 |
분야대비 영향력지수 |
표준화된 순위보정지수 (0~100) |
보완된 순위보정지수 (1~5사이 정수) |
국가전체 |
2.32 |
58 |
0.95 |
59.60 |
3.46 |
기초·원천 부문 연구사업 |
3.35 |
53 |
1.19 |
68.15 |
3.87 |
기초·원천 부문 연구사업 (중복 배제) |
3.04 |
28 |
1.12 |
66.40 |
3.79 |
□ (특허의 질적 수준) K-PEG*를 활용한 국내 등록특허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교과부 특허의 8.3%가 S(최우수)등급으로 국가 전체(6.8%) 및 국가 R&D전체(6.7%) 특허보다 질적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3년간 교과부 주요 R&D사업 국내 등록특허의 질적수준 분석 비교>
구분 |
2006 |
2007 |
2008 |
전체 |
|||||
특허수 |
S등급 특허비중 |
특허수 |
S등급 특허비중 |
특허수 |
S등급 특허비중 |
특허수 |
S등급 특허비중 |
평균 R-Score* |
|
교과부 7대 주요 R&D사업 |
1,786 |
7.6 |
1,915 |
9.1 |
1,618 |
8.2 |
5,319 |
8.3 |
100.3 |
정부 R&D사업 |
5,344 |
6.2 |
7,572 |
7.2 |
3,327 |
6.6 |
16,243 |
6.7 |
88.9 |
국가 전체 |
89,131 |
6.5 |
91,545 |
7.1 |
60,223 |
6.8 |
242,899 |
6.8 |
96.1 |
주 1) K-PEG(Korean Patent Evaluation and Grading)은 국내 등록특허 중 평가대상 특허와 유사한 특허(유사한 기술)를 추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특허의 질을 비교 평가하는 특허등급 시스템
2) R-Score는 한국특허정보원이 개발한 K-PEG을 활용하여 한국 등록특허의 질을 정형화된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평균값은 100이 기준
* K-PEG(Korean Patent Evaluation and Grading)은 국내 등록특허 중 평가대상 특허와 유사한 특허(유사한 기술)를 추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특허의 질을 비교 평가하는 특허등급 시스템
□ 교육과학기술부는 ‘98년부터 주요 연구개발사업별 △투입성과 △산출성과 △연도별 성과통계 변화추이 △질적 수준 분석 △연구개발 생산성 등 가시적 연구지원성과를 분석하여, 과학기술정책 수립 및 연구개발 투자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해 오고 있다.
○ 교과부는 2008년도 성과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교과부 R&D사업의 질적 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개선방안들을 검토해 나갈 계획이다.
<자료문의> ☎ 02-2100-6821, 교과부 연구정책과장 서유미, 서기관 홍순정
☎ 042-869-6322, 연구재단 미래전략단장 조순로, 담당 허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