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2009년 과학기술창의상 수상기관 선정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문화 ,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9-12-29
  • 등록일 2009-12-30
  • 권호

- 국방과학연구소, KIST, 대전시, (주)효성 기술원 4개 기관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박찬모)은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혁신적인 개발을 통해 국가 과학기술 발전을 선도한 기관에게 수여하는 「2009년 과학기술창의상」 수상기관으로 ▲국방과학연구소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대전광역시 ▲(주)효성 기술원을 선정하였다.




□ 영예의 ‘대통령상’은 정밀 공중 폭발시스템을 적용하여 세계 최초로 ‘K11 차기복합형 소총’을 개발한 “국방과학연구소”가 차지하였다.




  ○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된 K11 차기복합형 소총은 기존의 5.56mm탄과 20mm 공중폭발탄 모두 하나의 방아쇠로 선택 발사할 수 있고, 조준점 자동 유도방식으로 탄의 명중률을 극대화시켜 주야간 정밀 사격이 가능하다.




  ○ 이번 K11 개발로 우리나라는 정밀 공중폭발탄 소총개발 기술을 보유한 세계 최초 국가가 되었고, 향후 K11의 수출 활성화로 우리나라 국가경제가 크게 발전될 것으로 기대된다.


□ ‘국무총리상’은 지난 20년간 과학계에 이론으로만 제시되어 왔던 전자스핀을 이용한 ‘스핀트랜지스터 소자’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게 돌아갔다. 




  ○ KIST가 개발한 스핀트랜지스터 기술은 기존의 반도체가 전자의 전하(-)만을 이용한 것에 반해, 전하와 동시에 스핀을 이용해 전자소자를 구동하는 신기술로, 이 스핀트랜지스터가 상용화되면 기존 반도체의 한계를 극복한 새로운 개념의 전자소자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 이번 스핀트랜지스터 기술 개발로 우리나라는 Si 기반 반도체에 이어, 차세대 반도체 산업에서도 한국 반도체 산업의 신화를 이어나갈 수 있게 되었다.




□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상’은 과학기술의 산업혁신과 창의활동 지원을 통한 ‘과학기술 창조도시 대전’을 조성한 “대전광역시”가 수상하였다. 


  ○ 대전광역시에는 과학기술연구 중심지인 대덕특구가 소재해 있고, △정보통신 △바이오 △첨단부품소재 △메카트로닉스 등 4대 분야를 선정해 총 2,540억 원을 투자 육성하였다. 또한 견우직녀축제 등 과학주제축제 개최와 찾아가는 생활과학교실운영 등 과학기술 저변확대 및 과학도시 정체성 확립을 위한 창의활동을 지원하는 등 시민과 함께하는 ‘과학기술 창조도시 대전’ 조성에 힘쓰고 있다.




□ 또한 (주)효성 기술원도 국내 최초로 LCD용 TAC(Tri-Acetyl Cellulose) Film을 개발하여 상용화에 성공한 업적을 인정받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상’ 수상기관으로 선정되었다.




  ○ TAC Film 제조기술은 국내 유일의 기술로서, LCD를 구성하는 핵심기술 중의 하나이다. 이 기술의 국산화는 국내의 기능성, 고부가가치 광학 필름산업의 발전, 국내 전자재료 및 소재산업 활성화와 경쟁력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09년 과학기술창의상」시상식은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박찬모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수상기관장 및 관계자 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12월 29일(화) 11시 30분에 서울 웨스틴조선호텔 2층 오키드룸에서 개최된다.




  ○ 안병만 장관은 이 자리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국가 과학기술발전에 기여한 수상기관을 격려하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국가과학기술을 선도하여 우리나라의 선진국 진입에 앞장설 것을 당부할 예정이다.




□ 「과학기술창의상」은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실천을 통하여 국가 과학기술 발전을 선도한 기관을 시상함으로써, 과학기술과 관련된 모든 분야에서 창의적인 역량을 촉진하여 국가 발전에 기여하고자 제정된 상으로, 매년 1회, 총 4개 기관(대통령상 1, 국무총리상 1, 장관상 2)을 엄정하고 공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한다.




  ○ 대통령상 수상기관에는 상장과 1억 원을, 국무총리상 수상기관에는 상장과 5천만 원을, 교육과학기술부장관상 수상기관에는 상장과 1천만 원을 수여한다.




<자료문의> ☎ 02-2100-6636, 교과부 과학기술문화과 김병규 과장, 박문혁 사무관

                        ☎ 042-869-6831, 연구재단 인재양성팀 정주호 팀장, 강필구 책임연구원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