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STEPI, 북한의 주력 연구과제와 수준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0-01-04
  • 등록일 2010-01-05
  • 권호
<개 요>



□ 배경 및 필요성

○ 북한은 2012년까지 강성대국(사상, 총대, 과학기술)의 문을 열고 2022년

까지 이를 실현한다는 국가적 목표를 천명하면서 과학기술에 의한

경제발전 전략을 국정 핵심과제로 수행하고 있음

- 북한의 과학기술 분야 주력 연구 과제를 분석함으로써 북한의 현실적

수요와 국정과제 수행 능력을 파악하고, 이를 대북 정책 수립과 남북 과학

기술협력정책 수립에 반영할 필요가 있음



□ 북한의 과학기술 수준과 관심도

○ 북한이 생산현장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제한된 자원을 중점분야에

투자함에 따라 일반 기초과학과 응용과학 전체에서 일반분야와 특수

강점분야 사이에 커다란 수준 차이가 존재하게 되었음

- 기초과학의 수학, 역학과 물리에서는 핵, 미사일 등의 국방 분야에

강점이 있고, 화학은 PVA와 탄소하나 등의 전통 우세분야, 생물은

동물 클론 등의 신규 첨단기술 분야가 특히 우수함

- 응용과학의 나노분야에서는 북한이 집중하는 산화물나노가, 기계전자

분야에서는 공작기계가, 컴퓨터 S/W 분야에서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지시로 집중 육성한 리눅스와 한글 문서처리가 상대적으로 우수함



○ 남한과의 수준 차이가 작은 분야는 신흥학문인 나노과학과 생물학의

동물 클론 분야, 북한의 전통적인 강점 분야인 고분자화학과 탄소하나

화학 등임

- 우주 발사체와 핵무기 등의 특수 국방과학에서는 남한과 대등하거나

앞선 상황이 발생하고 있는데, 동 분야에서 남한은 국제적 규제 등으로

연구를 하지 못하거나 출발이 지연되기 때문임



□ 남북한 과학기술협력에 주는 시사점

○ 화학과 생물, 나노과학, S/W 등 비교적 남한과의 수준 차이가 작은 분야

에서 보다 활발한 남북한 과학기술협력을 추진할 수 있음

- 남북한 사이의 연구수준 차이가 상당히 크므로, 초기에는 설비지원과

인력 훈련 등의 지원형 협력을 추진하고 점차 대등한 공동연구와 협력

센터 설립 등으로 진전될 필요가 있음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